美 국무장관 교체에 북미 정상회담 6~7월로 연기 가능성

2018-03-15 15:34
  • 글자크기 설정

차기 국무장관으로 내정된 마이크 폼페이오 미 중앙정보국(CIA) 국장. [사진=AP·연합]


미국의 외교 수장인 국무장관이 교체되면서 북·미 정상회담이 당초 예상됐던 5월에서 6~7월로 연기될 가능성이 제기됐다.

워싱턴포스트(WP)는 14일(현지시간) 북·미 정상회담의 장소도 아직 정하지 못한 상태에서 5월 안에 모든 준비를 끝낼 수 있을지 불확실하다며 이같이 보도했다. 
에런 데이비드 밀러 우드로윌슨센터 부소장은 WP에 “(회담 시기가) 5월로 나왔지만 6월이나 7월이 될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그는 “시간이 더 필요하다. 서둘러서는 안 된다. 오직 한 번의 기회밖에 없기 때문이다. 자칫 잘못하면 다시는 기회가 오지 않을 수도 있다”고 강조했다. 

뉴욕타임스(NYT) 역시 마이크 폼페이오 차기 국무장관 내정자가 상원 인준을 마치고 본격적인 회담 준비에 착수하기까지 수주 이상이 소요될 것이라면서 회담 연기 가능성을 언급했다. 상원에서 인준이 통과되고 정식 임명이 되어야 폼페이오 국장이 북한 외무상이나 한국 강경화 외교부 장관과도 공식적으로 접촉할 수 있다는 설명이다. 

북한으로부터 회담에 대한 공식 확인을 받지 못한 것도 준비 작업에 혼란을 더하고 있다. 보통 정상회담 전 여러 차례 예비회담을 통해 테이블의 크기와 모양까지 모든 세부 사항을 조율해야 한다. 그러나 지난달 8일 트럼프 대통령의 정상회담 수락 후 여러 외교 채널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미국과 북한은 정상회담에 대해 직접적으로 논의한 바가 없다고 백악관 관리는 NYT에 말했다.

지금까지는 백악관이 매튜 포팅어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아시아담당 선임 보좌관을 중심으로 실무 그룹을 구성하며 회담 준비를 주도하는 모습이다. 그러나 아직까지 회담의 목표나 협상 내용에 관한 윤곽도 잡지 못한 상태라고 WP는 전했다.  

미국의 대북 협상 컨트롤타워가 공석이라는 점도 연기설에 무게를 더한다. 북한과의 협상을 전담해 온 조셉 윤 국무부 대북정책 특별대표가 이달 초 사임을 선언했고, 주한 미국대사 자리는 1년 넘게 비어 있다. 백악관 내부에서조차 주한 미국대사로 내정됐던 빅터 차 미국 전략국제문제연구소(CSIS) 한국 석좌의 낙마를 후회하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고 NYT는 전했다.

한편 앞으로 정상회담을 포함한 북한과의 협상에서 폼페이오 차기 국무장관 내정자는 대북 정책의 방향을 지휘하면서 막강한 영향력을 행사할 것으로 전망된다. 백악관은 인선 발표 하루 만에 대변인실 명의로 폼페이오 내정자가 CIA 국장으로서 재임 기간 어떤 성과를 이루었는지 홍보하는 자료를 발표하며 일찌감치 폼페이오에게 힘 실어주기에 나섰다. CNN은 트럼프 대통령이 개인적으로 폼페이오 내정자에게 북·미 정상회담 준비를 주도할 것을 지시했다고 보도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