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세 가지 직책 가진 고려왕
그러니까 고려의 국왕은 세 가지 지위를 가졌다고 보면 된다. 이 세 가지 지위가 바로 고려와 몽골간의 기본 틀이 됐다. 그러니까 고려의 국왕은 몽골제국 외부에 존재하는 영토와 백성을 가진 군주인 동시에 칭기스칸 가문의 부마로서 몽골제국 안에 존재하는 왕이었다. 정동행성 승상이라는 자리도 결국 몽골제국의 고위 관리라는 점에서 몽골제국 안에 속한 존재라고 말할 수밖에 없다.
이러한 고려 국왕의 지위는 곧바로 고려의 정치적 위상과 연결될 수밖에 없었다. 그리고 이러한 관계는 고려가 몽골의 영향권에서 벗어나는 14세기 중반까지 계속 됐다. 여기서 충자 달린 여섯 명의 고려왕 시대의 역사는 고려사에 맡기자. 대신 특이한 삶을 산 충선왕의 치세를 통해 고려와 몽골의 관계를 짚어보도록 하자. 충선왕의 세자 시절 사랑 얘기를 담은 드라마가 지난해 TV에서 드라마로 방영되기도 했다.
고려의 왕이라고는 하지만 그가 일생의 대부분을 원나라가 지배했던 중국 땅에서 보냈다. 그런 점에서 당시의 비정상적인 고려와 몽골의 관계를 짐작하게 해준다. 그는 왕의 자리에 올랐다가 밀려난 뒤 다시 왕의 자리를 되찾기도 했다. 또 왕의 자리를 스스로 내 놓은 뒤 대도에서 지내다가 먼 티베트 땅으로 유배를 가서 고난의 세월을 보내기도 했다. 굴곡이 많은 그의 삶 속에서 당시 몽골과 고려의 관계를 읽을 수 있는 많은 것들이 들어 있다.
▶ 몽골 간접지배 1세기
충선왕(忠宣王)은 고려가 몽골에게 정복된 뒤 몽골에 충성한다는 의미로 왕의 이름 앞에 충(忠)자를 붙인 두 번째 왕이다. 몽골은 충렬왕 때부터 왕의 시호이름 앞에 충(忠)자를 붙이도록 강요해 이후 여섯 명의 고려왕에게 충자가 붙었다. 또 묘호에도 조(祖)나 종(宗)대신 왕을 붙이도록 요구했다. 그 앞쪽에 있는 원종 때는 고려가 몽골의 영향권 안에 들어가는 시기였다.
또 그 뒤쪽에 있는 공민왕 때는 몽골의 영향력에서 벗어나려고 애쓰던 때다. 그래서 고려가 몽골제국의 입김에 의해 좌지우지되던 확실한 기간은 충렬왕(忠烈王)에서 충정왕(忠定王)에 이르는 80년 동안으로 볼 수 있다. 앞 뒤 세월의 영향권에 있었던 시기까지 감안하면 100년 전후, 그러니까 1세기 동안 고려는 몽골제국의 간접지배아래 있었다. 그 가운데 충선왕은 가장 주목해볼 만한 사람이다.
충선왕은 절반의 고려 피와 절반의 몽골 피가 섞인 인물이다. 몽골이 초원으로 쫓겨 간 뒤 북원제국 대칸의 자리에 오른 아유시리다라는 몽골인 아버지인 대칸토곤 테무르와 고려인 어머니 기왕후(奇王侯) 사이에서 태어난 인물이다. 충선왕은 아버지와 어머니의 나라가 뒤바뀐 경우로 어머니는 대칸 쿠빌라이의 딸이고 아버지는 충렬왕(忠烈王)이다.
충선왕의 어머니의 몽골이름은 ‘쿠틀룩 켈리미쉬’라고 부른다. 하지만 복잡하고 기억하기 어렵기 때문에 고려 쪽에서 붙인 대로 제국대장공주(齊國大長公主) 장목왕후라 부르자. 충선왕의 몽골식 이름은 이질부카다. 3살의 나이로 세자에 책봉된 그는 고려에 대한 인질 성격으로 어릴 때부터 원나라의 수도 대도에서 보내졌다.
▶ 몽골공주와 대도서 혼인
연왕(燕王), 안서왕(安西王,) 북평왕(北平王)등이 쿠빌라이가 자손들에게 내려준 왕의 칭호다. 진왕 카말라는 바로 연왕이었다가 황태자가 되는 쿠빌라이의 큰 아들 칭킴의 큰아들, 그러니까 쿠빌라이에게는 장손이 되는 인물이었다. 카말라는 쿠빌라이가 죽은 뒤 후계자로 거론된 두 명의 손자 가운데 한사람이었지만 동생 테무르가 대칸이 되자 케룰렌 강변의 몽골 초원으로 들어갔다.
▶ 夫婦갈등에서 父子갈등으로
특히 충렬왕은 몽골에서 배운 사냥에 빠져 정사를 뒷전으로 미루고 국고를 탕진했다. 게다가 궁인 무비는 왕의 총애를 믿고 안하무인격으로 행동하며 횡포를 부렸다. 자연히 충렬왕과 장목왕후 사이에 갈등이 심해졌다. 충렬왕과 어머니의 편이었던 세자 원(謜:충선왕) 사이의 알력도 높아졌다. 몽골 조정은 당연히 왕후 편을 들었다.
부부간의 갈등이 이제 부자간의 갈등으로 옮겨졌다. 이에 정치염증을 느낀 충렬왕은 스스로 왕위에서 물러나겠다고 선언했다. 모양은 그랬지만 사실은 충렬왕 스스로 힘이 약해진 것을 깨닫고 물러났다고 보는 것이 옳다. 세자를 지지하고 있던 몽골조정은 기다렸다는 듯이 세자를 귀국시켜 충렬왕 대신 왕위에 오르게 했다.
▶ 힘 잃은 충렬왕, 왕위서 물러나
충렬왕이 스스로 왕에서 물러나고 충선왕이 힘이 강해진 것은 원나라 공주와의 혼인과 깊은 관계가 있다. 충렬왕은 쿠빌라이의 딸과 혼인하면서 몽골의 힘을 배경으로 왕권을 강화했다. 그러나 장목왕후가 숨지면서 기댈 언덕이 거의 없어졌다. 더욱이 충렬왕과 장목왕후 사이가 좋지 않았다는 것을 원나라 조정이 알고 있던 상황이라 왕권이 크게 약화될 수밖에 없었다.
이에 반해 충선왕은 이제 막 카말라의 딸과 결혼해 몽골황실의 부마가 된 상황이라 그에게 힘이 실릴 수밖에 없었다. 이 점을 간파한 충렬왕은 스스로 힘이 약해진 것을 깨닫고 왕위에서 물러난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