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사(元史) 후비열전에 기록된 기황후에 대한 평가다. 적어도 그녀가 아름답고 총명한 고려 처녀였던 것은 분명한 것 같다. 당시 대도에서는 고려 여인에 대한 인기가 높았다. 그래서 고려 여인을 처첩으로 들이지 않으면 명가(名家)로 대접받지 못할 정도였다고 경신외사(庚申外史)라는 책에 기록돼 있다. 경신외사는 원말(元末) 명초(明初)를 살았던 권형(權衡)이 토곤 테무르시대를 기록한 야사다.
▶ 질투 때문에 숱한 곤욕
혜종은 즉위 후 죽은 엘 테무르의 동생 사둔(橵敦)과 자신을 옹립하는 데 공이 큰 바얀을 승상으로 삼았다. 특히 바얀을 중서우승상으로 발탁해 진왕(秦王)에 봉함으로써 엘 테무르 가문을 견제하려 했다. 사둔이 죽고 난 뒤 권력의 추가 바얀쪽으로 기울자 엘 테무르의 두 아들이 바얀을 죽이고 혜종을 폐하려는 역모를 꾀했다. 1335년 6월 이들은 결사대를 이끌고 황궁으로 난입했지만 이를 사전에 간파한 바얀이 이들을 모두 사로잡았다.
쿠데타의 사실여부는 알 수 없지만 쿠데타 미수 사건으로 이를 주도했던 황후의 오빠를 비롯한 가족들은 처형되고 황후 타나시리도 유폐됐다가 사약을 받고 죽음을 당했다. 황후가 죽자 토곤 테무르는 궁녀 기씨를 정후(正后)로 앉히려했다. 하지만 역모사건의 처리를 맡았던 실력자 바얀을 비롯한 귀족들이 이를 반대하고 나섰다. 몽골제국의 황후 자리는 전통적으로 옹기라트 가문에서 이어 왔는데 미천한 고려출신 궁녀를 그 자리에 앉힌다는 것은 있을 수 없는 일이라는 것이 반대의 이유였다.
▶ 아들 출산으로 확고해진 지위
치세 전반의 대칸은 사실상 군벌 세력들의 꼭두각시에 지나지 않았다. 아버지 코실라를 죽인 뒤 권력을 장악했던 그들의 힘에 대적할 만한 아무 것도 갖고 있지 못했다. 평균 1년도 채 되지 못한 기간에 쿠데타가 일어나 대칸이 바뀌는 일이 거듭됐으니 토곤 테무르로서도 언제 자신이 그 자리에 밀려나 죽음을 당할지 모르는 불안한 상황에 놓여 있었다.
그러니 자신의 의지를 관철시킬 수 있는 상황이 아니었다. 어린 시절을 불우하게 보낸 대칸은 살아오는 동안 터득한 지혜로 자신을 위협하는 강력한 세력이 있으면 물러서 때를 기다렸다. 그리고 때가 와서 승산이 있다고 판단되면 자신이 직접 나서거나 다른 세력을 키워 제압하는 방법을 썼다. 아직은 때가 아니라고 판단한 대칸은 결국 1337년 옹기라트 가문의 여인을 새 황후로 맞아 들였다.
그녀는 바로 실력자 바얀의 딸인 바얀 코톡토(伯顔忽都) 였다. 비록 황후에 오르지 못했지만 궁녀 기씨는 여전히 대칸의 사랑을 받으며 2년 후 에는 토곤 테무르의 아들을 낳게 된다. 나중에 몽골 땅에서 북원제국의 첫 대칸의 자리에 오르게 되는 아유시리다라가 태어난 것이다. 아들의 출산으로 그녀의 지위는 점차 확고부동해지기 시작했다.
▶ 제 2황후에 오른 기여인
하지만 바얀의 세력이 너무 강해지는 것을 견제해 토곤 테무르가 바얀의 조카인 톡토(脫脫)를 내세워 바얀 일파를 제거했다는 설이 우세하다. 이 사건으로 태후 모자와 바얀이 축출되면서 대칸의 힘이 어느 정도 생겼다. 토곤 테무르의 친정이 시작된 것이었다. 그 상황에서 신하들도 대칸이 원하는 것을 들어주는 것이 좋겠다고 생각하고 기 여인을 제2 황후로 받아들일 것을 주청했다.
무엇보다 그녀가 대칸의 아들을 낳았다는 것이 크게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여기에 고려 정부가 기 여인을 황후에 책봉하도록 로비활동을 벌인 것도 어느 정도 작용을 했을 것이다.
▶ 몽골 황후로서 자질 연마
하지만 그녀는 고려인 출신 환관 등을 이용해 자신의 입지를 굳혀나갔다. 특히 몽골제국의 황후로서 자질을 인정받기 위해 꾸준히 노력했다. "그녀는 맛있는 음식이 생기면 먼저 칭기스칸을 모신 태묘(太廟)에 바친 후에야 자신이 먹었다." 몽골 황후로서 인정을 받기 위한 그녀의 노력이 엿보이는 대목이다.
▶ 강력한 정치세력 형성
이러한 노력으로 그녀의 입지가 더욱 확고해지면서 제 2 황후의 자리에 있었지만 그녀의 위세는 제 1황후를 훨씬 능가할 지경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