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7/12/17/20171217185404875586.jpg)
17일 청와대 인근 서울 효자동치안센터 앞에서 대한약사회 투쟁위원회가 편의점 판매용 안전상비의약품 확대에 반대하는 집회를 하고 있다. [사진=대학약사회 제공]
약사단체가 편의점에서 살 수 있는 의약품을 늘리는 데 반발해 대규모 집회를 열었다.
대한약사회는 17일 오후 청와대 인근 서울 효자동치안센터 앞에서 전국임원궐기대회를 갖고 정부의 편의점에서 팔리는 안전상비의약품 확대 추진을 맹비난했다. 약사회 투쟁위원회가 주최한 이날 집회에는 전국에서 1000명가량의 약사가 참가했다.
약사들은 “오·남용 위험이 높은 약을 편의점에서 파는 것은 국민 건강권을 위협하고, 유통 대기업에 특혜를 주는 것”이라며 판매약 확대에 반대했다. 상비약 접근성 향상의 경우 심야약국이나 약국당번제 활성화로 충분히 해결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나아가 “안전상비약 제도 자체를 폐지해야 한다”고 요구했다.
익명을 요구한 한 참석자는 “부작용이 많은 상비약을 국민 접근성을 높인다는 핑계로 편의점에서 판매하는 건 근본적인 해결 방법이 아니다”라면서 “정부는 보건소 야간 운영 등 다른 대안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하지만 이들을 바라보는 시선은 곱지 않다. 국민 건강권을 주장하지만 실상은 ‘밥그릇 싸움’이라는 지적도 나온다. 남은경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 사회정책팀장은 “약사회의 부작용 주장은 억지”라면서 “유효성과 안전성이 확인된 일반약의 약국 밖 판매를 막는 것은 직역 이기주의일 뿐”이라고 비난했다.
한편 편의점에 공급되는 의약품 규모는 2013년 154억원에서 2014년 199억원, 2015년 239억원, 지난해에는 285억원으로 꾸준히 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