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 정무위원회의 공정거래위원회 국감에서는 네이버의 검색 광고와 뉴스 알고리즘 운영 등이 도마 위에 올랐다. 증인석에 선 이해진 네이버 총수는 "부족한 것이 많다"면서도 구글의 운영과 다르지 않다는 점을 부각시키며 반박했다.
31일 국회 정무위원회 종합 국정감사에서 박용진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네이버의 쇼핑 상품 노출과 실시간 검색 순위 조작이 가능하냐"며 질의를 시작했다.
박 의원은 최근 청탁으로 스포츠 기사 배열을 조작한 사건을 언급하며, 네이버의 뉴스 알고리즘 공개를 압박했고, 이에 이 총수는 "알고리즘 공개 할 수 없는 이유는 (조작을 위한)공격들이 더 많아질 수 있기 때문"이라며 "공개하면 문제가 더 급증하게된다"고 반박했다.
지난해 기준 3조원에 육박하는 네이버의 광고매출에 대해서도 박 의원은 "매출의 90%가 중소상공인으로부터 거둬들이고 있다"면서 "우월적 지위를 이용해 광고해야함 매출이 오르는 중소상인들은 피눈물을 흘리고 있다"고 비판했다.
하지만 이 총수는 "80%가 50만원 이하의 광고비를 활용해 효과를 얻고 있다"면서 "신문광고 시장을 가져오는 것이 아니라, 구글에게 뺏길 광고를 막아내고 있는 것"이라고 해명했다. 그러면서 "구글, 페이스북과 함께 할 수 있는 길이 있다면 같이 비교돼야할 것"이라며 역차별의 문제를 짚고 넘어가기도 했다.
이어 정태옥 자유한국당 의원이 "네이버의 검색은 전부 직·간접적으로 광고와 연결돼있다"며 "구글과 비교하는 것이 좋겠다고 했는데, 구글은 검색 사기광고에 대한 환불조치 등으로 강경히 대응하고 있다"고 지적하자, 이 총수는 "검색어는 알고리즘으로 돌아가는 영역이고 구글 점유율이 1위인 나라에서는 관련된 문제들이 비슷하게 나올 것"이라며 "국내에서 구글이 깨끗하게 보이는 것은 점유율이 적어서일 뿐, 구글과 같은 조치는 네이버도 하고 있다"고 반박했다.
또한 네이버 뉴스 콘텐츠 제휴를 통한 '가두리 광고'에 대해 해명을 요청하자, 이 총수는 "구글은 인링크 방식으로 콘텐츠 비용을 지불하지 않고 있지만, 네이버는 콘텐츠 비용을 내고 있다"고 말했다.
가격비교나 부동산 서비스 등 네이버의 골목상권 침해 논란에 대한 지적도 다시 나왔고, 이 총수는 "네이버는 국내시장이지만 구글은 전세계 시장 90%를 점유하고 있고, 구글도 모두 하고 있는 서비스"라며 "부동산 문제는 공정위의 지적으로 지난해 서비스 운영 방식을 변경했다"고 전했다.
이에 김상조 공정거래위원장은 "인터넷 플랫폼은 미래 산업"이라며 "인터넷 생태계 문제 고려할 때 단기적 효율성이나 갑을관계, 지위 남용 문제도 중요하지만 장기적인 관점에서 신중하게 고민해 해결방안을 찾아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