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7/09/26/20170926173329372670.jpg)
[사진= 롯데정보통신]
롯데정보통신이 기업분할을 추진한다. 롯데정보통신은 이번 물적 분할을 통해, 투자부문은 존속법인으로, 사업부문은 신설 법인으로 설립해 4차 산업혁명에 적극 대응하겠다는 방침이다.
26일 롯데정보통신은 이사회를 개최해 투자부문과 사업부문으로 분할하기로 결정하고, 10월 27일 주주총회를 거쳐 승인이 완료되면, 11월 1일이 분할기일이 된다고 밝혔다.
26일 롯데정보통신은 이사회를 개최해 투자부문과 사업부문으로 분할하기로 결정하고, 10월 27일 주주총회를 거쳐 승인이 완료되면, 11월 1일이 분할기일이 된다고 밝혔다.
분할 후 투자부문은 자회사 관리, 신규사업 투자 등에 나서고 사업부문은 IT사업에 역량을 집중하며 인공지능(AI), IoT(사물인터넷), VR, AR, 블록체인, 헬스케어 등 신기술에 대한 투자를 확대하게 된다. 롯데정보통신 관계자는 "회사를 분리해 신속한 의사결정이 가능한 구조를 확립하고, 핵심역량을 강화해 기업가치를 제고하겠다는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먼저 기업분할을 통해 투자부문은 향후 롯데 지주회사와 연계해 순환출자 고리 해소와 경영투명성 강화에 기여할 예정이다. 사업부문은 전문성을 확보해 대외 경쟁력을 강화하는 데 집중한다. 나아가 향후에는 기업공개(IPO) 등 다양한 방안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더불어 롯데정보통신은 사업전문성을 확보해 인공지능(AI), IoT 등 신사업 강화에 주력한다는 계획이다. 지난 7월 28일 블록체인 전문기업 ㈜블로코와, 9월 1일에는 빅데이터계의 구글이라 불리우는 스플렁크, 21일에는 국민메신저 카카오와 손을 잡는 등 신사업을 적극적으로 확대하고 있다. 또한 국내 최초 무인편의점, AI 쇼핑도우미 등 서비스에 이어 지속적으로 고객의 비즈니스를 획기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는 신사업을 발굴 중이다.
롯데정보통신은 파트너사와 함께 성장하는 구조도 확립할 것이라고 밝혔다.
먼저 동반성장이 곧 회사의 경쟁력이라는 생각아래 △ 하도급 모니터링 시스템 △ 파트너 교류 플랫폼 등 제도를 신설한다. 하도급 모니터링 시스템은 계약 및 대금 지급 등을 스스로 모니터링 할 수 있도록 하여 혹시나 발생할 수 있는 파트너사의 피해를 사전에 방지해주는 시스템이다. ‘파트너 교류 플랫폼’은 파트너사간 의견을 교환하고 실시간 협업이 가능한 공간으로 탄생할 예정이다.
마용득 롯데정보통신 대표이사는 “보다 투명한 기업 운영과 효율적이고 전문적인 의사결정 구조를 확립하여 기업가치를 제고하고자 장기간에 걸쳐 다양한 방안을 검토하여 이번 분할을 진행하게 됐다”며 “앞으로도 사회와 함께 발전하는 투명한 경영을 실천할 것” 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