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확대
!['사드 물자' 성주기지 반입. [사진=연합]](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7/09/07/20170907083555385263.jpg)
한·미 양국은 6일 사드 배치에 대한 절차적 투명성이 일부 확보되고 북한의 연이은 탄도미사일 발사와 6차 핵실험으로 안보 위기가 고조돼 더 이상 배치를 미룰 수 없다는 판단에 7일 오전 중 사드 임시배치를 진행하기로 합의했다. 이에 따라 한미 양국 군은 7일 새벽 2시부터 오산 기지와 경북 왜관 기지에 각각 보관하고 있던 잔여 발사대와 장비, 물자 이동을 동시에 시작할 것으로 보인다.
국방부가 사드 잔여 발사대 4기를 성주 기지에 반입하기로 함에 따라 주한미군 사드는 1개 포대 장비를 완비하게 됐다.
이에 따라 성주 기지의 주한미군 사드는 정상적인 작전운용 상태에 들어가게 됐다. 국방부는 사드 기지 전체 부지를 대상으로 일반 환경영향평가를 한 다음, 사드의 최종 배치 여부를 결정할 방침이다.
군 당국은 사드 임시배치가 무리없이 진행될 수 있도록 경찰청과 협조해 경력을 증파, 성주 사드기지에 대한 경비 계획을 강화한다는 방침이다.
사드 배치를 반대하는 일부 지역주민, 관련 단체와의 충돌을 최소화하기 위한 조치로 풀이된다.
이날 사드 배치를 반대하는 시민사회단체들이 모여 만든 소성리 종합상황실도 주한미군이 사드 발사대 4기를 추가 배치한다는 사실을 여러 경로를 통해 확인했다고 밝혔다.
종합상황실은 "6일 저녁에 사드 발사대를 배치한다는 통보가 주민에게 올 것으로 본다"며서 "경기경찰이 소성리 마을회관 부근에 도착한 것으로 파악했다"고 했다. 또 경찰이 도로를 봉쇄할 것으로 예상함에 따라 사드 반대 주민과 시민단체 회원들에게 오후 6시까지 소성리 마을로 집결할 것을 요청했다.
주한미군은 헬기로 공사장비와 자재 등을 성주골프장 안으로 실어나르는 등 분주한 보습을 보였다. 경찰은 사드 발사대 추가 배치 때 8000여명의 경찰력을 배치해 주민과의 충돌을 막을 계획이다.
국방부는 앞서 잔여 발사대 4기를 임시배치하기 최소 하루 전 언론과 주민에게 공지하겠다는 입장을 밝힌 바 있다. 지난 4일 환경부는 국방부가 제출한 경북 성주 사드 기지 내 일부 부지에 대한 소규모 환경영향평가서를 심의한 결과 '조건부 동의' 결정을 내렸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