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경제 윤주혜 기자 = 한국P2P금융협회 회원사의 누적대출액이 1조원 돌파를 코앞에 두고 있다. 협회 회원사의 누적대출액은 지난해부터 두자릿수로 증가할 정도로 빠른 속도로 규모를 키웠다. 하지만 앞으로는 규모보다 내실을 다지는 게 P2P업체들의 과제가 될 전망이다.
한국P2P금융협회 공시에 따르면 5월말 기준으로 협회 회원사의 누적대출액은 총 9901억5068만원이다. 이는 지난해 말 대비 111.46% 증가한 수준으로 지난 5개월동안 무려 5210억원 가량 늘었다.
전월 대비로 보면 1월 12.66%(593억원), 2월 18.97%(1000억원), 3월 17.03%(1068억원)로 증가하면서 꾸준히 두자릿수로 누적대출액이 증가했다. 특히 4월에는 전월 대비 18.19%(1336억원)가 늘었다.
이러한 가파른 증가세는 P2P금융 시장이 투자자에게는 재테크 수단으로 자리잡았을 뿐만 아니라 대출자에게는 중금리로 대출을 제공하기 때문이다.
아울러 P2P대출 가이드라인의 시행을 앞두고 P2P금융 업체들이 누적대출액을 대거 늘린 영향도 크다. 가이드라인은 개인 투자자는 한 P2P업체에 연간 1000만원, 동일 차입자에 대해서는 500만원까지 투자를 제한하기 때문에 가이드라인 시행 전, 일부 P2P금융업체는 규모를 확대하는 데 집중했다.
누적대출액은 부동산 관련 대출을 중심으로 급증했다. 대출별 비중을 보면 부동산 PF대출이 38.84%(3845억원)로 가장 많았고 부동산 담보 23.12%(2289억원), 신용대출 25.59%(2534억원) 등 순이다. 부동산 PF와 부동산담보를 합치면 비중은 61.96%로 절반 이상이다.
하지만 가이드라인이 시행된 만큼 증가세는 앞으로 주춤해질 것으로 보인다. 이에 업계는 법인 투자자 유치에 적극 나서거나 복수의 P2P업체가 한 상품에 대해서 공동으로 투자자를 모집하는 상품 등을 출시하고 있다.
일각에서는 가이드라인 도입으로 시장에서 도태되는 업체들이 대거 나올 것으로 전망한다. 무엇보다 먼저 한국P2P금융협회 회원사를 중심으로 한 시장이 더욱 공고해질 것으로 보인다. 비회원사 업체 중에는 투자예치금을 업체 자산과 분리해 은행 등 공신력 있는 금융기관에 맡겨야 하는 '고객 예치금 분리 보관 시스템' 도입을 마무리 하지 못한 곳들이 많아서다.
아울러 어느정도 업력이 쌓이면서 연체율 등 건전성이 하락해 투자자들의 신뢰가 하락하는 업체들도 점차 나타나고 있다. P2P협회 회원사 중 한곳인 A사의 연체율은 10%를 웃돈다. P2P투자자들의 커뮤니티에서는 A업체의 상품 중 연체가 발생한 상품이 잇따르자 우려를 표하고 있다.
금융권 관계자는 "P2P업체 중 업력이 길다고 하는 곳이 3년 가량이다"면서 "업력이 길어질 수록 연체율이 늘어나는 대출업의 특성상 연체율이 급증하는 것은 시간 문제다"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