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는 전방위적 사드 보복 조치가 본격화된 3월 한달 동안 외래관광객의 발길이 전년 같은 기간(총 109만명)과 비교해 11.2% 줄어든 97만여명으로 집계했다. 특히 중국인 방문객은 28만여명으로 1년 전 47만명에 비해 40%가량이 줄었다고 파악했다. 겨우 반타작은 면한 셈이다. 한동안 의료관광 특수를 누렸던 강남구의 표정은 그야말로 울상이다.
그나마 관광시장 다변화에 더해 새로운 수요를 이끌면서 당초 예상됐던 충격은 크게 줄었다. 서울시에서 시장 규모와 성장률이 높은 태국, 말레이시아, 대만, 홍콩 등을 적극 공략하며 발빠르게 대처한 결과라 풀이된다. 올해 3월 해외에서 서울을 찾은 관광객은 일본 22만명, 동남아 25만명으로 1년 사이 각각 22.4%, 6.6% 증가했다.
언제까지나 등을 돌리고 있을 것 같았던 한·중 관계에 화해 무드가 조성되고 있다. 문재인 정부 출범을 계기로 중국 측의 사드 후폭풍이 빠르게 잠잠해질 기미를 보이고 있다. 한국행 단체관광 금지령은 곧 풀릴 듯 보이고, 한한령(限韓令·한류 콘텐츠 금지령) 해제 등 문화계 전반으로 장밋빛 전망이 확산되는 모양새다.
서울시는 작년 외래관광객들의 발길이 한창 이어질 때 해외마케팅에 160억여원을 쏟아부었다. 그해 5월 반포한강시민공원 달빛광장에서는 중마이그룹 임직원에 8000인분의 삼계탕을 끓여 제공하는 이벤트도 즐겼다. 이는 박원순 서울시장이 2015년 중동호흡기증후군 여파로 중국기업의 포상 휴가 관광객이 급감하자 직접 베이징을 찾아 설명회와 로드쇼를 도는 등 노력도 일조했다는 평이다.
서울시는 더욱 박차를 가했다. '세계 3위' 마이스(Meeting·Incentive travel·Convention·Exhibition) 성적표를 더 끌어올리겠다며 한 해 100억원의 예산 투입 방침을 알렸고, 2017년 1700만명에 이어 2018년 2000만명 유치를 목표로 내걸었다. 이런 계획은 한순간에 사드 배치로 물거품이 됐고, 서울시는 불똥이라도 튈까 동남아와 무슬림 관광객을 모시겠다며 그간 대(對)중국 마케팅에서 사실상 손을 뗐다.
이는 분명한 오판이다. 2016년 방한 관광객이 서울 여행 과정에서 쓴 지출액(추정액)은 총 26조7000억원으로 서울시 살림살이에 약간 못 미친다. 이 가운데 절반은 중국인 관광객이 쓴 것이다. 특히 화장품이나 명품 등 좋은 물건이라면 가격과 상관없이 매입하던 '단체 큰손'의 소비 비중은 컸다. 어찌됐건 방문객 수치는 동남아와 무슬림 등지에서 채운다고 하더라도 경제적 손실액은 어떻게 메울지 의문이다.
관광정책은 한철 장사가 아닌 백년을 내다보고 장기적으로 대응해야 하는 것이다. 앞서 2016년에 중국인 관광객을 잡겠다며 '유커 대박론'에 편승해 삼계탕파티 같은 과잉대접도 마다하지 않았다. 이들은 일자리 창출 등 경제적인 파급 효과만으로 따졌을 때도 서울시 입장에서 절대 피해서는 안 될 대상이다.
지금이라도 늦지 않았다. 오는 10월에는 중국의 최대 연휴이자 건국 기념일인 국경절이 있다. 이 시기에 해외로의 러시는 불보듯 뻔한 상황이다. 지난해 당시 한 주에만 25만여명이 물밀듯이 몰려왔고 6500억이란 돈을 쓴 것으로 파악됐다. 대이동할 인구들이 어떻게든 한국행을 택하도록 해야 한다. 서울시는 유커든 싼커든 다시 중국인 관광객을 유치하는 데 진력을 다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