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7/05/15/20170515100707308927.jpg)
신세계 이마트(대표이사 이갑수)의 일부 매장이 반품·교환 처리된 식품을 매장 파견직 직원 등에게 팔아온 정황이 포착돼, 공정거래위원회가 조사에 착수했다. 식품의 위해성 점검 없이 싼 가격만 앞세워 판매한 터라 논란이 커질 전망이다. [사진=이마트 제공]
아주경제 석유선 기자 = 신세계 이마트(대표이사 이갑수)의 일부 매장이 반품·교환 처리된 식품을 매장 파견직 직원 등에게 팔아온 정황이 포착돼, 공정거래위원회가 조사에 착수했다. 반품·교환상품의 재판매 전에 식품의 위해성 점검 없이 싼 가격만 앞세워 판매한 터라 논란이 커질 전망이다.
15일 정부 당국과 업계에 따르면, 공정위는 이마트 일부 매장이 폐기해야 할 반품·교환 상품을 일주일에 한 번씩 싼 가격으로 내부 직원에게 판매하고 있다는 사실을 확인하고 공정거래법 위반 여부에 대해 조사를 벌이고 있다고 연합뉴스가 전했다.
문제는 이들 제품 중 내부 규정상 판매가 금지된 먹거리 상품이 포함돼있다는 것. 고객이 냄새가 난다는 이유로 반쯤 먹다 반품한 쌀이 판매된 적도 있었고 위해 물질 유출이 의심돼 반품된 찌그러진 캔 식품이 버젓이 판매되기도 했다. 유통기한이 짧은 냉장식품도 포함돼 있다.
이마트 측은 이처럼 교환·반품된 먹거리를 팔면서 직원들에게 해당상품이 왜 교환·반품 대상이 됐는지 이유를 자발적으로 알리지 않았다. 냄새나 맛을 이유로 반품된 식품의 경우 변질 가능성 등 위해성 여부를 따져봐야 했지만 관련 절차 없이 가격만 대폭 낮춰 판매했다.
게다가 반품·교환 상품은 싸게 판매된다는 이유로 교환이나 환불도 해주지 않았다. 결국 구입한 직원들은 식품이 도저히 먹을 수 없는 상태라는 것을 뒤늦게 확인해도 '울며 겨자먹기'로 그대로 버릴 수밖에 없었다.
반품·교환 상품은 절반도 되지 않는 가격에 판매됐고 주로 경제적으로 여유가 많지 않은 파견직들이 주로 구입했다. 재판매를 통해서도 팔리지 않은 상품은 그제서야 모두 폐기 처리했다.
김주홍 이마트민주노동조합 위원장은 "이마트는 수년 전부터 교환·환불 이유를 적극적으로 알리지 않은 채 싼 가격만 앞세워 하자품을 팔아왔다"라며 "교환·환불 식품은 폐기돼야 하는데 결국 위해성 점검도 없이 직원들이 사먹도록 유도한 꼴"이라고 꼬집었다.
그는 이어 "물건을 사가는 사람들의 95% 정도는 '을' 위치에 있는 파견직"이라며 "싼값에 혹해 구매했다가 심각한 문제를 뒤늦게 발견해도 불만을 제기하지 못하고 그냥 버릴 수밖에 없는 것은 바로 이런 구조적 요인 때문"이라고 말했다.
이에 대해 이마트 측은 반품·교환 상품을 내부적으로 재판매하고 있는 것은 사실이지만, 개봉된 쌀이나 냉장제품 등은 판매금지 대상이라며 부정했다.
이마트 측은 "교환·환불 상품의 재판매에 대한 명문화된 기준이 존재하며 각 매장은 이 기준에 따라 판매를 하고 있다"며 "내부 규정상 냉장식품, 포장 훼손이 아닌 사용을 목적으로 개봉된 상품은 재판매 대상에서 제외된다"라고 밝혔다.
그러면서도 "만약 일부 매장에서 냉장식품이나 개봉된 쌀 등을 판매했다면 그것은 해당 매장이 기준을 지키지 않은 것"이라고 해명했다.
재판매 때 해당 상품이 당초 교환·반품된 사유를 고지하지 않고 있다는 지적에 대해선 "교환·환불 이유는 미리 고지하지는 않지만 개별적으로 판매 직원에게 물어보면 설명해주고 있다"는 설명이다.
공정위는 이마트 측의 이런 행위가 공정거래법에서 금지한 '정상적인 거래 관행에 비춰 부당한 조건을 제시해 거래를 강제하는 행위'에 해당하는지를 조사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공정위는 또 이마트 측이 파견직에게 본연의 업무 외 이마트 직원이 해야 할 업무를 전가하는 사례가 있는 것으로 보고 대규모유통업법 위반 여부에 대해서도 조사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