막오른 19대 대선, 韓 사이버보안 빨간불

2017-05-07 10:55
  • 글자크기 설정

[사진=아이클릭아트 ]


아주경제 신희강 기자 = 제19대 대통령선거가 코앞으로 다가오면서 국내 사이버 보안의 위협이 높아지고 있다. 최근 북한의 핵실험 및 미사일 발사, 한반도 '사드(THAAD·고고도미사일 방어체계)' 배치에 따른 중국의 보복 등 국제적 긴장관계를 고려했을 때 대선을 노린 다양한 형태의 사이버 공격이 전개될 것이라는 우려에서다.

7일 보안업계에 따르면 19대 대선이 열리는 9일 전후로 북한과 중국의 공격 및 헌법재판소 결정에 불만을 품은 세력 등의 사이버 공격이 빗발칠 것으로 예상된다.
중앙선거관리위원회(선관위)는 지난 2011년 10·26 재보선, 2012년 19대 총선, 지난해 20대 총선 디도스(DDoS·분산서비스거부) 공격을 받았다. 특히 19대 총선에서는 선거 전날 밤 두 차례에 걸쳐 총 52분간 선관위 홈페이지에 디도스 공격이 발생하기도 했다.

선관위에 따르면 해킹 시도는 월 평균 300건을 넘어서고 있으며, 2012년 이후 선관위 홈페이지에 대한 해킹 시도는 1만7887건에 이르고 있다. 2012년 314건이었던 해킹 시도는 매년 급증해 2015년에는 14배 이상 폭증한 4612건, 2016년에는 6000건을 넘어섰다.

정치적 격변기를 맞아 발생하는 사이버 공격은 비단 국내뿐이 아니다. 미국의 경우 지난해 대선 기간 중 힐러리 클린턴 캠프의 선거운동본부장이었던 존 포데스타와 민주당 전국위원회 인사들의 이메일이 해킹됐다. EU 역시 같은 해 11월 집행위 서버에 대한 대규모 사이버 공격을 받은 바 있다.

전문가들은 최근 들어 사이버 공격이 체제 전복을 위한 국가의 지원을 받고, 금전적인 목적으로 지능화되고 있다고 경고하고 있다. 시만텍코리아의 '인터넷 보안 위협 보고서(ISTR)'에 따르면 북한의 사이버 공격 집단은 방글라데시, 베트남, 에콰도르, 폴란드 등에 있는 은행을 공격해 최소 9400만 달러(약 1060억원)를 탈취하는 데 성공한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특히 우리나라의 경우 지정학적·경제적 요인으로 사이버 공격 타깃에 노출될 확률이 더욱 높다는 게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북한 해킹 그룹은 지난해 3월 국내 방위산업체와 국방 관련 기관들을 대상으로 ‘엑스마크(Exmark)’와 ‘픽미(PickMe)’ 악성코드를 유포하는 등 한국을 타깃으로 한 북한의 사이버 공격은 이미 여러 차례 발생한 바 있다.

이에 정부는 유관기관 간 협력을 통해 신속한 대응조치에 나서고, 24시간 사이버 비상체제에 돌입한다는 입장이다. 미래창조과학부는 주요기반시설에 대한 관제 강화 및 주요 기업들의 홈페이지 모니터링 대상을 확대한다는 방침이다. 선관위도 24시간 365일 통합관제를 통한 실시간 대응에 나서고, 인터넷 회선의 증속 및 다단계 방어시스템을 구축해 나가기로 했다.

한국인터넷진흥원(KISA)과 안랩 등 유관기관과 보안업체도 사이버 공격에 대비한 긴장의 끈을 놓지 않고 있다. KISA는 19대 대선 기간 주요 홈페이지 모니터링을 강화하고, 선거 운동 관련 118(긴급번호) 상담 대응체계를 강화할 계획이다. 안랩은 시큐리티대응센터(ASEC)와 침해사고대응센터(CERT) 등 주요 대응 부서를 통해 사이버 공격에 상시 대응하고, SK인포섹 역시 인력을 추가로 투입, 모니터링과 대응리소스를 강화하기로 했다.

미래부 관계자는 "대선 기간 추가적인 해킹공격의 피해확산 방지를 위해 민간 및 공공기관에 대해 디도스 공격 모니터링과 함께 인터넷 서버 등에 대한 보안취약점 점검, 보안조치를 강화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