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미래부, 홈페이지 창조경제 간판 내렸다 다시 올려

2017-05-04 15:25
  • 글자크기 설정

(창조경제를 상징하는 로고) 


아주경제 한준호 기자 = 미래창조과학부가 대통령 선거를 앞두고, 홈페이지 대문에 걸려 있던 창조경제 로고를 삭제했다가 다시 원상 복구하는 해프닝이 발생했다. 최근 미래부가 박근혜 정부의 핵심 국정과제인 창조경제 업무를 털어내려는 움직임을 보이는 가운데 벌어진 일이라 주목된다. 

미래부는 4일 지난달 말까지 홈페이지 대문에 걸려 있던 창조경제 로고를 5월 초 연휴기간에 삭제했지만, 본지가 취재에 들어가자 이를 다시 원상 복구시켰다.
미래부 관계자는 창조경제 로고 삭제와 관련해 “평창동계올림픽 홍보 강화 차원에서 ‘이제는 평창입니다’라는 로고를 홈페이지에 넣기 위한 테스트 과정에서 잠시 창조경제 로고가 내려갔던 것”이라며 “평창 로고를 게재할 적절한 장소를 찾는 과정에서 기술적으로 발생한 오류”라고 해명했다.

그러나 이번 해프닝이 대선을 코앞에 둔 민감한 시기에 발생했다는 점에서 명분이 약한 궁색한 변명이라는 지적이다. 과학기술과 정보통신 기능이 합쳐진 현재의 부처 형태를 어떻게든 최대한 유지하기 위해 전 정권과의 거리두기에 나섰다는 주장에 무게가 쏠리기 때문이다. 
 

지난 4월 미래부 홈페이지 왼쪽 상단 가장 눈에 띄는 자리에 '창조경제' 로고가 자리 잡고 있다. (미래부 홈페이지 캡처) 

 

5월 3일 미래부 홈페이지에서 창조경제 로고가 사라진 모습. (미래부 홈페이지 캡처)  

 

5월 4일 미래부가 다시 창조경제 로고를 원상 복구한 모습. (미래부 홈페이지 캡처) 



미래부의 창조경제 흔적 지우기는 곳곳에서 감지됐다.

특히 지난 4월 21일 동대문디자인플라자에서 열린 ‘과학·정보통신의 날’ 기념식에서는 창조경제라는 언급자체가 아예 사라졌다. 황교안 대통령 권한대행의 축사와 행사 전 방영된 홍보 동영상에서도 창조경제라는 단어는 눈을 씻어도 찾아볼 수 없었다.

창조경제에 대한 언급이 사라진 이날 행사는 창조경제 성과를 과시하는 데 초점이 맞춰진 지난 2016년 ‘과학·정보통신의 날’ 기념식 때와 판이하게 달라진 창조경제의 추락한 위상을 보여줬다는 지적이다.

하지만 미래부는 창조경제라는 명칭이 차기 정권에서 문제가 된다면 그때 가서 얼마든지 논의해 볼 수 있다며 섣부른 예단을 자제해 달라는 입장이다.

미래부 관계자는 “제2 창업붐의 불씨를 살리기 위해서도 창업정책을 지속해야 한다는 기조가 다음 정권에도 있을 것으로 본다”며 “창업을 지원하는 구조와 인프라가 유지되는 것이 명칭 변경보다 중요하다”고 말했다.

미래부가 지난 4년 동안 추진해 온 창조경제 정책은 전국 18곳에 설치한 창조경제혁신센터를 중심으로 대기업과 스타트업의 협업, 스타트업의 창업 과정과 글로벌 진출을 도우며 제2의 창업붐 조성에 기여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그러나 지난해 불거진 최순실 국정농단 사태로 박근혜 대통령이 탄핵되자 창조경제 정책 추진 동력을 잃게 됐다. 올해까지 창조경제 관련 예산이 집행되기 때문에 사업 추진에 직접적인 영향은 아직 없지만, 새 정부 출범을 코앞에 둔 미래부의 고민은 깊어가는 상황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