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세제안 국외소득 감세는 어디로? "애플, MS 등 투자자들 실망"

2017-04-27 10:32
  • 글자크기 설정

애플 등 기업 세금피해 국외에 막대한 현금 쌓아놔…세제안 자금 유입 유도에는 미흡

26일(현지시간) 뉴욕 증권거래소에서 트레이더들이 트럼프 세제개혁안 발표를 방송으로 지켜보고 있다. [사진=AP]


아주경제 윤은숙 기자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가 26일(이하 현지시간) 취임 뒤 처음으로 세제개혁안을 발표한 가운데, 월가에서는 정작 가장 궁금해하던 국외소득 과세에 대한 내용이 너무 모호하다는 불만이 나온다. 

이날 뉴욕 증시에는 애플 등 국외 매출이 높은 기업들의 주식들이 일제히 약세를 보였다. 새로 발표된 세제 개혁안이 국외수익의 본국 송환분에 대한 과세 방안을 제대로 제시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CNBC는 "이번 세제안은 정작 월스트리트가 가장 알고 싶어하는 부분에 대한 구체적 언급이 없다"고 지적했다. 이번 발표에 앞서 정부 관계자는 로이터와의 인터뷰에서 미국 기업들의 국외 수익에 대한 본국 송환액에 대해 과세율을 35%에서 10%로 낮추겠다고 언급한 바 있다.

그러나 이번 발표에서 백악관은 수조 달러에 달하는 국외수입금에 대한 일회적인 과세만을 언급했다. 세부적인 과세 기준에 대해서는 언급이 없었다. 

애플, 마이크로소프트, 알파벳, 시스코, 오라클 등은 국외에서 가장 많은 수익을 내는 기업들로 알려졌다. 지난 대선 이후 애플의 주가는 무려 30%나 올랐으며, 마이크로소프트는 12%, 구글은 9% 등 일제히 상승했다.

과세체계의 전환이 되면 그동안 높은 세율을 피해 국외에 막대한 현금을 쌓아두었던 애플과 같은 기업들이 미국으로 돈을 들여올 가능성이 높다. 이렇게 유입된 돈들은 자사주식의 재구매로 이어질 것이라는 기대감 때문에 주식들은 그동안 꾸준한 상승세를 기록한 것이다. 

지난 11월 골드만삭스의 미국 주식 전략가인 데이비드 코스틴은 만약의 국외기업들의 수익의 본국 송환이 있다면 S&P 500 기업들의 자사주 매입이 30%나 치솟을 것이라고 보았지만, 만약 없을 경우에는 5% 정도밖에 늘지 않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
언어선택
  • 중국어
  • 영어
  • 일본어
  • 베트남어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