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7/04/27/20170427102138277532.jpg)
26일(현지시간) 뉴욕 증권거래소에서 트레이더들이 트럼프 세제개혁안 발표를 방송으로 지켜보고 있다. [사진=AP]
아주경제 윤은숙 기자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가 26일(이하 현지시간) 취임 뒤 처음으로 세제개혁안을 발표한 가운데, 월가에서는 정작 가장 궁금해하던 국외소득 과세에 대한 내용이 너무 모호하다는 불만이 나온다.
이날 뉴욕 증시에는 애플 등 국외 매출이 높은 기업들의 주식들이 일제히 약세를 보였다. 새로 발표된 세제 개혁안이 국외수익의 본국 송환분에 대한 과세 방안을 제대로 제시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번 발표에서 백악관은 수조 달러에 달하는 국외수입금에 대한 일회적인 과세만을 언급했다. 세부적인 과세 기준에 대해서는 언급이 없었다.
애플, 마이크로소프트, 알파벳, 시스코, 오라클 등은 국외에서 가장 많은 수익을 내는 기업들로 알려졌다. 지난 대선 이후 애플의 주가는 무려 30%나 올랐으며, 마이크로소프트는 12%, 구글은 9% 등 일제히 상승했다.
과세체계의 전환이 되면 그동안 높은 세율을 피해 국외에 막대한 현금을 쌓아두었던 애플과 같은 기업들이 미국으로 돈을 들여올 가능성이 높다. 이렇게 유입된 돈들은 자사주식의 재구매로 이어질 것이라는 기대감 때문에 주식들은 그동안 꾸준한 상승세를 기록한 것이다.
지난 11월 골드만삭스의 미국 주식 전략가인 데이비드 코스틴은 만약의 국외기업들의 수익의 본국 송환이 있다면 S&P 500 기업들의 자사주 매입이 30%나 치솟을 것이라고 보았지만, 만약 없을 경우에는 5% 정도밖에 늘지 않을 것이라고 전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