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7/03/15/20170315142941716110.jpg)
[사진=아이클릭아트 ]
아주경제 윤은숙 기자 =호주가 에너지 위기 대응을 위해 적극적으로 나섰다. 호주의 말콤 턴불 총리는 석유·가스 업체 임원들과 15일(현지시간) 호주 에너지 안보와 비용에 대해 커지는 우려를 불식시키기 위한 조치를 취할 예정이라고 블룸버그 비즈니스가 이날 보도했다.
턴불 총리는 로얄더치셸, 엑손모빌, 토탈 SA 등 업체와 회동을 가지고 최근 치솟는 휘발유 가격 안정을 위한 방안을 간구할 예정이다.
최근 호주에서는 일본, 한국, 중국을 포함한 국가들에 대한 수출량은 늘어나는 반면 일부 주에서 시추 제한으로 공급이 딸리면서 휘발유 가격은 치솟았다. 남호주에서 이어진 정전 사태는 전세계적인 석탄과 천연가스 생산국이 에너지 위기를 겪는 상황에 대해 국민적 공분을 사고 있다.
에너지 안보를 둘러싼 중앙정부와 지방정부의 분열은 차솟는 에너지 비용에 대한 호주 기업들의 불안을 더욱 부추기고 있다. 일부 기업들은 제조시설을 외국으로 옮기는 방안까지 고려하고 있다. 호주에서 휘발유 도매가격은 지난 2년간 세배나 올랐다.
보수성향의 연방정부는 남호주 주정부 쪽에 안정적인 에너지 공급에 실패한 책임을 묻고 있다. 재생에너지 부문에 지나친 의존도가 문제를 키웠다는 것이다.
턴불 총리는 기존에 청정에너지 분야에만 지원되던 보조금을 차세대 석탄발전소 건설에도 쓸 수 있도록 검토하겠다면서 화석 연료를 통한 에너지 문제 해결을 주장하고 있다.
그러나 남호주 주정부는 잦은 정전이 전력공급자들의 송배전과 관련된 규정 때문이라고 주장했다. 남호주 주정부는 또 14일 안정적인 전기공급을 위해 전체 국가의 전기설비 시스템에서 벗어나 독자적인 전기 생산과 조절에 나서겠다고 발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