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면 기업들이 현실적으로 할 수 있는 조치는 많지 않은 상태다. 한.중 양국간 서로 양보하기 어려운 ‘국가안보’에 그 핵심을 두고 있기 때문이다.
경제·통상 전문가들은 기업들이 이번 기회에 수출 다변화를 통해 대외 위기에 대한 ‘내성’을 기를 것을 주문했다. 다른 한편으론 중국에 신제품의 출시를 늦추고 공장의 재고를 줄이는 등의 비상시나리오 경영을 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현정택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원장은 “기업 수준에서 할 수 있는 대응이 많지 않다"며 “조용한 가운데 향후 같은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대응책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고 짚었다.
강호갑 한국중견기업연합회 회장은 “가시화되고 있는 중국의 한한(限韓) 동향은 고전을 면치 못하고 있는 우리 경제에 닥친 커다란 위기”라면서 “정부가 합리적인 자세로 관계 회복을 위한 외교적 교섭에 적극 나서는 한편 중장기적으로는 국내 기업들이 시장 다변화를 통한 안정적인 수출구조 확보를 있도록 하는 대책을 내놔야 한다”고 지적했다.
중장기적으로는 시장 다변화를 주문하면서도 당장은 감정적인 대응부터 자제해야 한다고도 했다.
장병송 KOTRA 중국사업단장은 “국내에서는 ‘치사하다’ 등의 표현으로 중국 경제보복 조치를 깎아내리고 있지만 이는 국내 기업에 전혀 도움이 되지 않는다”며 “일례로 최근 국내 한 언론이 중국을 ‘삼류국가’로 표현했는데 이를 현지 유력 언론이 재인용해 보도하면서 사태가 오히려 더 악화됐다”고 설명했다.
그는 “중국은 현재 소방법 등 기존의 규제를 좀 더 엄격히 적용하고 있는 수준”이라며 “진짜 무서운 것은 중국인의 국민감정을 자극해 국내 기업에 대한 무차별적인 불매운동이 일어나는 것”이라고 전했다.
피해 기업들은 자신의 어려움을 적극적으로 정부에 건의할 필요가 있다는 주장도 나왔다. 현지에서 일하고 있는 기업들을 정부가 일일이 파악해 대응책을 만들기는 어렵다는 이유에서다.
안덕근 서울대 국제대학원 교수는 “아직 전초전에 불과하다”며 “전면전에 대비하기 위해 기업들은 피해사례를 수집 및 기록하는 한편 정부에도 적극적으로 어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기업들이 중국의 보복이 두려워 움츠러들어 피해 사실을 잘 알리지 않으려고 한다”며 “그러나 정부가 한중 FTA(자유무역협정) 등을 통해 양국 간 합의한 협의 채널을 가동할 때 기업들의 피해 사례는 필수적으로 요구된다”고 설명했다.
현재 대응할 수 있는 운신의 폭이 좁은 기업들에게 ‘비상 시나리오’를 갖고 경영에 임해야 한다는 견해도 제시됐다.
최용민 한국무역협회 동향분석실장은 “신제품의 출시를 늦추고 공장의 재고를 줄이는 등의 비상시나리오 경영을 할 필요가 있다”며 “더불어 중국에서 사업을 접을 수는 없는 만큼 현지와의 대화 채널을 그 어느 때보다 열어놔야 한다”고 조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