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창조과학부와 방송통신위원회의 경우 산하 공공기관 아니라 통신사업자 및 산하 협회에까지도 ‘관피아’가 없는 곳이 없을 정도로, 국정감사 등에서 ‘관피아’가 심각한 문제로 지적돼 온 바 있다. 또한 최순실 국정농단사태에서 미래부는 여론의 지탄을 받았으며, 정권 교체가 이뤄질 경우 사라질 첫 번째 부처로 손꼽히고 있는 상황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청와대의 인사권 공백을 틈 타 또 다시 퇴직 고위공무원을 법정협회도 아닌 순수한 민간협회 회장으로 내려 보내는 것은 내용도, 시기도 매우 부적절한 행태라고 녹소연은 비판했다.
이러한 행태를 진행하는 것에 대해 대선 후 사실상 조직의 존속이 불투명한 미래부의 고위공무원들이, 퇴직 후 일자리 마련을 위한 사전포석 작업을 진행하고 있는 것 아니냐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녹소연 측은 "미래부와 방통위의 정책 결정사항은 특정 기업의 명운을 좌지우지할 수 있을 정도로 큰 영향력을 끼치는 경우가 많다"면서 "퇴직 고위공무원이 업무연관성이 깊은 민간기업이나 관리감독의 대상인 민간 협회에 내려가는 일이 반복되면 심각한 민관유착의 행태를 보일 유인이 크다는 점에서 몹시 우려스러울 수밖에 없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