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우선주의'를 표방하는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 출범과 사드(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배치로 국내 기업에 대한 보복을 노골화하고 있는 중국에 끼여 피해를 입을 것이라는 우려가 점차 현실화하고 있기 때문이다.
실제 미국 상무부는 지난달 27일 한국에서 수입된 가소제(DOTP)에 대한 반덤핑 조사 결과를 발표하며 LG화학과 애경유화에 각각 5.75%, 3.96%의 예비관세를 부과키로 했다. 이들 기업이 미국 시장에서 공정가격보다 제품을 저렴하게 팔아 덤핑을 했다는 주장이다. 이와 함께 향후 한국에서 가소제를 제조·수출하는 모든 업체를 대상으로 4.47%의 반덤핑 예비관세를 부과키로 했다.
트럼프 행정부뿐만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 보호무역주의가 강화하고 있는 점도 화학업계가 우려하는 대목 중 하나다. 한국무역협회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국산 화학제품에 대한 해외 시장의 규제 건수는 철강·금속제품에 이어 두 번째로 많은 49건을 기록했다.
업계에서는 이같은 보호무역주의 강화 기조와 대내외 정치 이슈로 실적 성장세가 둔화되지 않을까 노심초사 하고 있다. 원재료 값 상승세 둔화 및 제품 수요 증가로 인한 제품값 상승으로 지난해에 이어 올해에도 실적이 그 어느 때보다 높을 것으로 예상되지만 정치·외교 이슈가 발목을 잡지 않을까 우려하는 것이다.
업계에서는 자체적인 대응에 나서고 있지만 무엇보다 정부가 적극 나서 사태 해결에 도움을 주길 기대하고 있다. 물론 '최순실·박근혜 게이트'로 국정 공백 사태에 빠진 현 상황에서 정부가 구원투수 역할을 하기 어려운 것도 사실이다. 하지만 이럴 때일수록 정부가 외교 문제에 목소리를 내고 기업들이 해외 시장에서 겪는 부당한 처우에 대해 대변할 수 있어야 한다.
특히 국내 기업들이 해외 시장에서의 경쟁력과 지위를 확고히 하고자 하는 시점이어서 이런 노력이 더욱 절실해 보인다.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맞아 새로운 '퀀텀점프'를 시도하는 국내 기업들이 외교 이슈에 발목잡히는 사례가 없도록 이를 뒷받침하는 정부의 모습을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