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재현장] FIFA 돈벌이에 침대축구 봐야 하나

2017-01-13 00:01
  • 글자크기 설정

 

아주경제 서민교 기자 = 세계인의 ‘축구 잔치’인 월드컵 본선 무대에서 그라운드에 드러눕는 중동의 이른바 ‘침대축구’를 볼 수 있을 지도 모르겠다.

국제축구연맹(FIFA) 월드컵 본선 출전국이 2026년부터 48개국으로 확대된다. 월드컵의 최대 수혜자는 FIFA, 최대 수혜국은 중국이 될 전망이다. 하지만 축구 팬들의 높아진 눈높이를 맞추기는 힘들 것으로 보인다.

FIFA는 지난 10일(한국시간) 스위스 취리히에서 열린 평의회를 통해 만장일치로 2026년 대회부터 월드컵 본선 출전국을 현재 32개국에서 48개국으로 확대하는 데 의견을 모았다. 지안니 인판티노 FIFA 회장이 선거 당시 내걸었던 대표적인 공약을 현실로 옮기기 시작했다.

월드컵 본선 출전국 확대의 의미는 따져보면 복잡하다. 기본적으로 대륙별 출전권이 늘어나면서 월드컵 본선 무대를 밟을 수 있는 기회의 폭이 넓어진다. 또 더 많은 지구촌 국가들이 세계 최고의 스포츠 이벤트를 즐길 수 있게 됐다. 한국만 놓고 봐도 현재 아시아에 4.5장이 주어지는 출전권이 최소 7장에서 9장까지 늘어날 전망이다. 한국의 월드컵 본선 진출 가능성은 매우 높아진다.

그동안 월드컵 본선 진출 흑역사에 시달렸던 중국도 기회를 엿볼 수 있다. 중국이 월드컵 본선 무대를 밟은 것은 2002년 한·일 월드컵으로 한국과 일본이 개최국 자격으로 자동 진출하면서 얻은 티켓이 유일하다. 다만 본선 진출 이후 32강부터 시작되는 토너먼트는 늘어난 유럽과 남미 강호들을 상대해야 해 관문이 더 좁아져 첩첩산중이다.

변화를 꿈꾸는 FIFA의 노림수는 경제적 이득이다. FIFA는 내부 보고서를 통해 2018년 러시아 월드컵의 수입을 55억 달러(약 6조6000억원)로 예상했다. 48개국으로 확대될 경우 최대 65억 달러(약 7조8000억원)까지 늘어날 수 있다. 이는 세계 축구의 잠재적 ‘최대 시장’인 중국의 본선 진출을 염두한 전망이다. 13억 인구가 월드컵 열기로 들썩이면 경제적 파급력은 엄청나다. 중국은 이미 세계적인 축구 스타들을 영입하기 위해 막대한 ‘차이나 머니’를 풀고 있다.

그러나 월드컵 본선 출전국 확대에 따른 부정적 시선도 적지 않다. FIFA의 상술론과 함께 경기 수준의 심각한 저하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강팀과 약팀의 수준 격차가 심해질 수 있고, 또 공격 위주의 화려한 축구가 아닌 실리 축구로 전락해 축구 본연의 재미가 사라질 수 있다. 월드컵 본선 무대에서 중동의 ‘침대 축구’를 본다고 생각하면 끔찍한 일이다. 유럽과 남미에서는 월드컵 기간이 늘어나면서 선수 혹사에 대한 우려를 나타내기도 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