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개정안은 ▲허가 또는 신고를 해야 하는 단기 유원시설업의 기준 영업기간을 1년 미만에서 6개월 미만으로 축소▲사고가 빈번한 유기시설 또는 유기기구의 정기 확인검사제도 신설 등 안전성검사체계의 개선▲기타유원시설업자의 안전교육 이수(2년마다) 의무 규정 등을 주 내용으로 삼았다.
허가 또는 신고 대상인 단기 유원시설업의 기준 영업기간은 종전의 1년 미만에서 6개월 미만으로 축소하고 단기 유원시설업자가 갖추어야 할 시설 및 설비기준도 최소한으로 규정했다.
6개월 미만의 단기 유원시설업의 경우에는 폐업통보서를 제출하지 않아도 해당 기간이 끝날 때 폐업한 것으로 규정했다.
최초로 안전성 검사를 받은 지 10년이 지난 유기시설 또는 유기기구는 높이·속도 등을 고려 반기별 안전성검사 대상을 조정했다. 기존에는 일률적으로 반기별 안전성검사를 받아야 했다.
또 안전성검사 대상이 아닌 유기시설 또는 유기기구 중 사고가 빈번한 붕붕뜀틀, 미니에어바운스, 미니시뮬레이션 등에 대해서는 2년마다 정기 확인검사를 받도록 규정했다.
안전·위생기준은 물놀이형 유원시설업자로 확대 규정해 워터파크 사업장 전체의 안전을 강화했다.
유원시설업자 준수사항은 공통사항과 개별사항으로 구분하고 종합·일반·기타유원시설업자별로 실시해야 할 안전관리 사항을 명확하게 규정했으며 정기 확인검사를 받아야 하는 유기시설 또는 유기기구를 설치·운영하는 기타유원시설 사업자는 2년마다 안전교육을 받도록 했다.
문체부 정책 담당자는 “이번 개정안을 통해 유원시설을 방문하는 이용객이 더욱 안전하게 놀이기구를 즐길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될 것”이라며 “유원시설의 안전관리 규정 개선이 관광활성화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