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 순환이란 구름 생성, 강수, 유출, 증발, 침투라는 순환계가 지속적으로 순환되는 체계를 말하며, 이러한 순환시스템이 개발 등에 의해 손상되면 예기치 못한 수질오염과 기상이변 같은 환경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물 순환 선도도시’ 사업은 훼손된 물 순환 시스템 복원을 주요 목표로, 기존 도시화의 상징처럼 여겨진 건물, 도로 등 빗물이 침투할 수 없는 불투수면을 ‘저영향 개발기법’을 통해 빗물이 침투할 수 있는 공간으로 변화시키는 사업이다.
광주시의 불투수면 비율은 27%로 전국 광역도시 중 3위이며, 현재도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어 지하수위 저하, 하천유지용수 부족, 하천 수질악화 및 홍수 등 많은 문제점이 있다.
광주시는 주무 부서를 중심으로 관련 부서, 시민단체, 전문가들이 힘을 모아 환경부의 공모에 응모해 1위로 선정됐다.
광주시는 물 순환 정책의 장기 비전 및 시민들과 함께 추진하는 단계별 실행계획이 포함된 ‘물 순환 선도도시 마스터플랜’을 수립하기 위해 내년에 ‘광주광역시 물 순환 관리 기본계획 용역’을 추진한다.
광주의 물순환 중점 관리지구가 선정되고 단계별 사업 시행계획이 수립될 뿐 아니라 향후 물 순환 선도도시를 위해 민관이 각각 추진해야 할 세부 실행계획인 ‘물 순환 선도도시 마스터플랜’도 마련하게 된다.
광주시의회 전진숙 의원은 지난 11월 시민들이 적극적으로 물순환 정책에 참여할 수 있는 제도 구축을 위해 ‘광주광역시 물순환 기본조례’를 발의해 내년 1월에 공포될 예정이다.
물 순환 정책 및 제도 개선방향이 설정되면 광주시는 상무지구에 물 순환 선도도시 시범사업을 추진하게 된다. 총사업비는 295억원(국비 207억원)으로 2018년에 기본 및 실시설계를 시작으로 2020년까지 추진되며, 이후 단계별 시행계획에 따라 물 순환 체계 개선사업을 도심 전역으로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박영석 시 환경생태국장은 "지난 여름 극심한 폭염과 열대야로 힘들었던 것도 물 순환 체계의 손상에 기인한 바가 크다"며 "광주시는 기후변화에 대비하고 미래 물 부족에 능동적으로 대처하기 위해 물순환 정책을 적극 추진할 것이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