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해양조사원, 우리바다 해류 명칭 통일

2016-12-22 11:06
  • 글자크기 설정
아주경제 배군득 기자 = 국립해양조사원은 지난해 우리나라 주변 해역 해류 모식도를 완성한데 이어 올해 사업으로 12월까지 국·영문 해류명칭통일 작업을 완료했다고 22일 밝혔다.

그동안 우리나라 주변을 흐르는 해류를 여러 가지 이름으로 불러 정확한 의미를 전달하고 이해하는 데 어려움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국립해양조사원에서는 올해 한국해양학회 연구진을 비롯한 여러 전문가, 현직 교사 등과 함께 우리나라 주변 해역 해류명칭 통일을 추진해 왔다.

총 300여명이 머리를 맞대고 논의해 원칙들을 정하고 그동안 관습적으로 사용해 온 명칭들을 통일해 정리키로 한 것이다.

명칭 통일 조건은 ▲규모가 작은 해류의 이름에는 ‘난류’ 또는 ‘한류’를 포함 ▲쿠로시오 해류와 오야시오 해류처럼 규모가 큰 해류에는 ‘해류’ 사용 ▲동해 외해분지류와 같은 분지류에는 ‘지류’ 사용 ▲외국에서 기원한 해류 명칭은 사용 빈도와 실제 자국에서 사용하는지 여부를 고려 등이다.

이같은 원칙에 따라 종래 ‘한국연안류, 서한연안류, 한국연안수’ 등 다양한 이름으로 불리던 우리나라 서해안에 흐르는 해류 이름을 ‘서한연안류’로 통일시켰다.

또 동해 북쪽 러시아 연안을 따라 흐르는 해류(우리나라에는 리만 해류로 알려짐)가 러시아에서 프라모리에(Primorye)해류로 호명되고 있는 점을 고려해 ‘연해주(沿海州)’와 차가운 해류를 뜻하는 ‘한류’를 결합한 ‘연해주한류’라 정했다.

류재형 국립해양조사원장은 “이번 해류 명칭 통일이 앞으로 해류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국민에게 알리는 데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며 ”통일된 해류 명칭과 해류 모식도를 중학교 과학 교과서에 수록하도록 교육부와 협의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새로운 해류 명칭은 국립해양조사원 누리집(www.khoa.go.kr)에서 ‘해류모식도’를 검색하면 각 해류 특징과 함께 확인할 수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
언어선택
  • 중국어
  • 영어
  • 일본어
  • 베트남어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