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지난 2004년 3월 12일 노무현 대통령에 대한 탄핵안이 국회를 통과됐을 당시 코스피지수는 2.43%, 코스닥지수는 3.44% 떨어졌다. 그러나 코스피는 3거래일, 코스닥은 4거래일 만에 탄핵 전 수준으로 회복했다.
다른 나라의 사례를 봐도 증시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일 가능성이 높다. 김성노 흥국증권 연구원은 "2004년 노무현 대통령 탄핵 당시 뿐 아니라 2015~2016년 브라질의 경우를 보더라도 주가에 미치는 영형은 제한적이었다"고 말했다.
올해 브라질 대통령 탄핵국면에서도 브라질 주식시장은 신흥시장 대피 아웃퍼폼했다는 게 김 연구원의 분석이다.
탄핵을 둘러싼 불확실성이 해소되고, 한국 정치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이 조금씩 사라지면서 증시에 호재로 작용할 수 있다는 낙관적인 전망도 있다.
윤영교 LIG투자증권 연구원은 "2010년 무렵부터 2015년 무렵까지 꽤 장기간 신흥국 증시는 선진국 증시에 비해 열위를 보였다"며 "글로벌 경기 침체에 따른 교역량 감소, 원자재 가격 장기 하락이 복합적으로 작용했기 때문이다"고 설명했다.
그는 "그러나 지난해 2015년 4분기부터 원유 가격이 20달러 선까지 하락하면서 바닥 확인에 대한 기대감이 부각됐다"며 "디플레이션 공포도 올 1분기부터 조금씩 해소되기 시작했다"고 덧붙였다.
그리고 이 때부터 신흥국 증시가 부진에서 벗어나기 시작했다는 게 윤 연구원의 설명이다. 반면 한국 증시는 올해도 힘을 내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윤 연구원은 많은 원인변수가 복합적으로 작용했겠지만, 무엇보다 한국 정부의 정책과 투명성에 대한 불신도 증시 침체에 중요한 몫을 했을 것으로 지적했다.
그는 "2004년 탄핵이 '정치 탄핵'이었던 반면 이번 탄핵은 '비리 탄핵'이란 점이 다르다"며 "지금 한국 증시는 정부와 기업 투명성이 제고되면서 리레이팅(똑같은 이익을 내지만 주가는 더 높은 수준에서 형성되는 현상)의 전기를 마련할 수 있는 중요한 분기점에 와 있다"고 강조했다.
물론 국내 정치 상황 외에도 가장 큰 대외 변수인 미국의 기준금리 인상 여부도 지켜봐야 한다.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Fed)는 13~14일(현지시간) 12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를 열어 연 0.25~0.50% 수준인 기준금리 인상 여부를 결정한다.
일단 금리 인상 가능성이 큰 것으로 관측되는 가운데 주식시장에서는 미국 통화정책의 향방을 확인하려는 관망심리가 지속될 것으로 예측된다. 다만, 이 부분도 불확실성 해소란 측면에서는 증시에 긍정적일 가능성이 높다.
이경민 대신증권 연구원은 "FOMC를 앞두고 내년 금리 인상 속도에 대한 경계감으로 증시 등락이 이어질 수 있는데, 주식 비중을 확대할 수 있는 기회"라며 "FOMC 회의 이후 글로벌 금융시장에 안도감이 더 커질 것이고 코스피의 수급 모멘텀도 강화될 것"이라고 전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