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서울시, 물이용부담금 제도개선 해법 찾는다.

2016-12-09 09:32
  • 글자크기 설정

12.12. 물이용부담금 포럼을 개최, 주요 쟁점사항 공개․논의, 합리적인 방향 제도개선 추진

아주경제 박흥서 기자 =인천시(시장 유정복)와 서울시는 오는 12일 서울 중구에 위치한 삼우 오펠리스 회의장에서 ‘물이용부담금, 어떻게 개선해야 하나?’라는 주제로 인천·서울 공동 물이용부담금 포럼을 개최한다.

이번 포럼은 현재 한강과 낙동강의 사례를 들어 물이용부담금의 운영상의 문제는 무엇인지, 어떻게 하면 문제점을 개선 할 수 있을지에 대하여 고민하고, 물이용부담금이 부담금관리기본법 등에서 정한 기준에 적정한지 법적 성격을 검토하는 기회를 갖기 위해 마련됐다.

포럼의 주요 내용으로는 서울연구원의 조용모 박사가 ‘한강수계 물이용부담금의 쟁점과 개편방향’을 부산환경연합의 최인화 연구원이 ‘낙동강수계 물이용부담금 현황과 과제’를 원광대학교 류권홍 교수가 ‘물이용부담금의 법적성격 검토’에 대해 주제발표를 하고, 인하대 최중기 명예교수를 좌장으로 7명의 관계 전문가들이 참여해 열띤 토론을 펼칠 예정이다.

한강 물이용부담금 제도는 환경부와 한강수계 5개(인천‧서울‧경기‧충북‧강원) 시‧도가 2005년까지 팔당호의 수질을 1급수(BOD 1.0㎎/L 이하)로 개선하겠다는 목표를 세우고 그 재원 마련을 위해 1999년에 한시적으로 도입됐다.

그러나, 2015년까지 총 5조 6,452억원을 징수해(당초 징수목표액 2조 177억원의 280%) 수질개선사업비 등으로 투입하였음에도 불구하고 팔당호의 수질은 목표에 이르지 못하고 있으며, 2005년 이후에는 달성하고자 하는 구체적인 목표도 없이 운영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국민의 90% 이상이 납부하는 준조세이면서도 단지 몇 명의 인원으로 구성된 위원회에서 쉽게 인상이 결정되는 의결구조도 여러 전문가에 의해 문제점으로 지적된 바 있다.

실제로 1999년에서 2015년 기간 동안 물가상승률이 54% 증가를 보였던 것에 비해 물이용부담금 인상률은 113%에 달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에, 한강 수계 물이용부담금의 55.5%(3조1,330억원, 1999년~2015년)를 부담하고 있는 인천시와 서울시는 이번 ‘인천·서울 공동 물이용부담금 포럼’ 개최를 통해 물이용부담금 전반에 대한 개선방안을 모색하고, 특히 그동안 주로 환경․재정분야에서 검토되던 물이용부담금을 법률적 차원에서 적정한지를 조명해 보는 기회를 가질 계획이다.

이상범 인천시 환경녹지국장과 권기욱 서울시 물순환안전국장은 “공동 포럼에서 나온 다양한 의견을 모아 물이용부담금이 합리적인 제도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개선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11]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
언어선택
  • 중국어
  • 영어
  • 일본어
  • 베트남어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