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경제 윤은숙 기자 =2017년 일본 경제에 대한 기대감이 높아지고 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의 공격적인 경기부양 정책이 일본 경제에도 훈풍이 될 수 있다는 예상 때문이다.
일본 경제는 최근 몇 년간 고전을 이어갔다. 지난 2014년과 2015년의 국제유가 폭락과 2016년에는 영국의 브렉시트, 일본은행의 마이너스 금리정책 등으로 경제불확실성이 커졌다. 일본 은행의 의도와는 다르게 엔은 거의 3년래 최고 수준으로 올랐고, 핵심소비자 물가는 3년래 최저로 떨어졌다.
S&P 글로벌 신용평가의 아시아 태평양 이코노미스트인 폴 그뤤왈드는 "만약 미국이 트럼프-케인즈 시나리오 (재정확대를 통한 경기부양 정책) 대로 움직인다면 내년 일본 경제에는 긍정적인 모습을 보일 것으로 예상된다" 고 말했다.
모건 스탠리 MUFG는 내년 일본의 경제성장률을 1.3%로 2018년에는 0.9%로 내다봤다. 이는 잠재 경제성장률인 0.3%를 웃도는 것이다. 모건 스탠리는 또 2018년에는 일본은행이 목표로 했던 2%의 물가상승이 가능할 것으로도 전망했다.
트럼프의 재정 부양 정책이 현실화 된다면 이는 미국의 수입을 늘릴 것으로 보인다. 이런 상황에서 강달러와 미국의 이자율 상승은 일본 수출 업체들에게 희소식이다.
미국은 일본의 두번째로 큰 무역 파트너다. 자동차뿐만 아니라 기계, 전문적 서비스 수입의 규모가 크다. 특히 저성장 환경에서 인프라 사업을 추진해본 적이 있는 일본의 기업들은 미국의 인프라 사업에서 강력한 경쟁력을 확보하고 있다고 후지쯔 리서치의 선임 이코노미스트인 마틴 슐츠는 블룸버그와의 인터뷰에서 평가했다.
경기부양에 따른 미국의 수요 증가 전망은 최근 OECD가 2017년 전세계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상승시킨 주요 요인이기도 하다. OECD는 국제 무역의 증가는 일본의 수출의 호조를 이끌 것이라고도 전망했다.
물론 이같은 상황은 인프라 사업 등 트럼프의 경기부양 정책들이 계획대로 진행된다는 것을 전제로 한 것이다. 트럼프의 정책들이 좌초될 수도 있으며, 진행속도가 더뎌질 수도 있기 때문이다. 이렇게 되면 달러 랠리가 멈추고 엔이 다시 상승세를 탈 위험을 배제할 수 없다.
게다가 엔화의 약세가 일본의 근본적인 구조개혁의 답이 될 수는 없으며, 아베 정부가 큰 기대를 걸었던 환태평양경제동반자협정(TPP)의 실패로 인한 타격은 경제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도 있다.
그러나 모건 스탠리는 일본의 인프라 사업, 지진 구호 등의 내용이 포함된 재정부양 정책안들이 지난 10월 국회에서 통과됐으며 다음 2년간 집행되면서 일본 정부 자체의 부양책도 경기회복에 도움을 줄 수 있다고 내다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