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는 6일 열리는 최순실 국정조사 특별위원회의 청문회에 증인으로 참석하는 8명의 총수 그룹 가운데 한 곳인 A그룹 관계자는 청문회 못지않게 특검 수사에 큰 부담감을 느낀다며 이같이 말했다.
이 관계자는 “국민들에게 생중계 되는 청문회는 총수들이 진실을 제대로 전달한다면 검찰 수사 과정에서 불거진 각종 의혹 중 일부분 해소할 수 있다는 기대감이 든다”면서 “하지만 특검은 다르다. 검찰 수사 과정에서는 대기업들의 미르·K스포츠재단 기금 출연이 뇌물죄 제공 적용이 어렵다는 쪽에 힘이 실렸으나 (특검 조사가 이뤄지면) 뒤집힐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검찰 등에 따르면 박 특검은 지난 1일 윤석열 대전고검 검사(56·사법연수원 23기)를 수사팀장으로 영입한 데 이어 지난 2일 특검보 후보자 8명을 청와대에 임명 요청했다. 청와대는 5일 이들 후보자들 가운데 4명을 임명할 것으로 알려졌으며 파견검사 10명도 확정될 전망이다. 빠르면 이번주부터 본격적인 수사에 착수할 수 있을 전망이다.
검찰 재직 시절 박 특검은 2003년 SK그룹 분식회계 사건에선 최태원 회장을 구속시켰고, 중수부장 시절엔 현대자동차의 비자금 조성 혐의를 밝혀 정몽구 회장을 구속 기소해 ‘대기업 저격수’라는 별명도 얻은 인물이다. ‘외환은행의 론스타 헐값 매각 의혹 사건’도 그가 지휘한 사건 중 하나다.
이미 그는 모든 의혹을 원점에서 되돌려 다시 들여다보겠다고 공헌한 상태다. 최순실씨가 운영한 미르·K스포츠재단에 대한 대기업의 기금 출연 등과 관련해 박 대통령에게 제3자 뇌물수수 혐의를 적용할 수 있을지, 대기업이 박근혜 대통령에게 기금 출연을 약속하는 과정에서 부정한 청탁을 했는지를 확인하는 것 등이 특검 수사의 쟁점이 될 전망이다.
특히, 박 대통령의 부정 행위 혐의를 입증하기 위해 수사 초반부터 대기업들에게 대대적인 수사 공세를 펼 것으로 보여, 압수수색과 총수 소환 등도 다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
C그룹 관계자는 “검찰 수사에 적극적으로 청문회에서도 총수가 진실을 증언한다는 원칙을 특검에서도 지켜 나간다는 게 우리의 입장이다. 하지만, 여론이 이를 그대로 받아들이지 않는 분위기가 우려스럽다. 사정당국이 여론을 의식하지 않을 수 없기 때문에 강하게 밀어붙일 것으로 보인다”면서 “법무팀과 로펌 등을 통해 과거 특검 수사 사례를 수집하고 이를 분석해 적법한 한도내에서 대응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최순실 게이트에 연루된 대기업들이 더 크게 염려하는 대목은 특검 수사가 언제까지 진행될 것이냐는 것이다. 최소 11월 30일 임명된 박 특검은 12월 19일까지 수사준비를 마치고 70일(기한 2017년 2월 27일)간 수사를 진행한다. 이어 30일간 수사기한을 연장할 수 있어 최장 내년 3월 29일까지 진행할 수 있다.
A그룹 관계자는 “지난달부터 본격화 된 수사에 연말 임원인사와 내년도 사업계획 수립에 차질을 빚고 있는 대기업들은 앞으로 최소 4개월간 또 다시 특검 수사에 발목을 잡힐 처지에 놓였다”면서 “수사는 진행하되 기업 고유의 활동은 최대한 보장해주길 바라는 마음”이라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