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경제 김문기 기자 =경기도가 ‘따복하우스(1만호)’와 ‘행복주택(5만호)’ 등 총 6만호 입주자들에게 표준임대보증금 이자를 최대 100%까지 지원한다. 따복하우스는 청년층의 주거와 결혼, 저출산 극복을 돕기 위해 도가 추진 중인 ‘경기도형 행복주택’이다.
19일 도에 따르면 보건복지부(사회보장위원회)는 지난 14일 경기도가 상정한 ‘따복하우스 임대보증금 이자지원사업’에 동의했다. 이에 따라 따복하우스 및 행복주택 입주가구는 표준임대보증금 이자의 40~100%를 지원받을 수 있게 된다.
모든 입주세대가 기본적으로 표준임대보증금의 40%의 이자를 지원받으며, 출산 장려를 위해 입주 후 자녀 1명 출산 시 60%, 자녀 2명 출산 시 100%를 지원받게 된다.
일례로 따복하우스 신혼부부용 공급 전용면적인 44㎡의 경우 표준임대보증금이 시세의 80% 수준인 4천800만 원이고, 월세가 24만 원 수준일 때 표준임대보증금 전액을 대출받았다고 가정하면 최초 입주 시 40%를 제한 2천880만 원에 대한 이자와 월세 24만 원만 부담하면 된다.
다만 형평성을 고려해 표준임대보증금을 초과 대출받는 경우 초과된 금액에 대한 이자는 본인이 부담해야 한다.
입주 이후 자녀를 1명 낳은 입주자는 60%를 제한 1920만 원에 대한 이자와 월세를 부담하면 되고, 2명 이상 낳게 되면 표준임대보증금에 대한 이자 부담 없이 월세만 내는 구조로 주거비 감소효과를 얻게 된다.
월세 외에 목돈이 들어가는 표준임대보증금 마련을 위해 은행 대출을 이용하는 신혼부부 등 청년층의 이중고를 해소할 수 있다는 게 도의 설명이다.
소요 예산은 도내 건설하는 따복하우스 및 행복주택 총 6만호에 대한 표준임대보증금의 이자를 지원할 경우, 2020년까지 4년 간 연차적으로 459억 원 정도가 필요할 것으로 추산하고 있다.
백원국 도시주택실장은 “따복하우스 입주자에 대한 이자지원 제도 신설로 제도적 기반이 마련됐다"며 "‘입주 계층별 공급비율 총량단위 협의결정’이 가능하게되어 단지별로 수요자 맞춤형 편의시설 등을 설치할 수 있게 됐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