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경제 이채열 기자 =민주노총 공공운수노조 화물연대본부가 10일 새벽 0시부로 전면 총파업에 돌입했다. 이에 따라 한진사태, 철도파업에 이어, 화물연대의 총파업으로 화물 운송 허브인 부산항이 위기를 맞고 있다.
10일 화물연대는 오전 11시 경기 의왕 내륙컨테이너기지(ICD), 부산 신항, 부산 북항 3곳에서 총파업 출정식을 갖고, 파업 결의를 다졌다. 부산 신항과 북항에 모인 인원만해도 4천여 명에 달한다.
그러나 화물연대는 "물류대란을 막기 위해 정부와의 진정성 있는 대화를 촉구했으나, 파업파괴에만 골몰한 채 화물연대와의 대화를 전면 거부하고 있어 불가피하게 총파업에 돌입했다"고 입장을 밝혔다.
더불어, 화물연대는 "지난 8월 정부가 발표한 '화물운송시장 발전방안' 주요골자인 '1.5t 미만 소형화물차와 택배용 화물차의 수급 조절제 폐지 등 방안 폐기와 화물시장 법·제도 개선, 이를 위한 즉각적인 교섭을 촉구할 예정"이라고 전했다.
이날 오전, 총파업으로 부산항 인근 도로에서의 화물차량들이 눈에 띄게 줄어든 모습이다. 평소라면 이동하는 트레일러 차량으로 도로가 꽉 차 있어야 정상이다. 그러나 이날 총파업에 대한 의지를 담은 붉은색 플랜카드가 대변하듯, 도로 인근에는 수많은 화물차량들이 정차해 있어 주차장을 방불케하고 있다.
관할당국에서 차량 이동 통지문을 차량에 붙였지만, 무용지물이다. 한진해운 사태, 철도 파업 등으로 목적지를 잃은 부산항의 물량도 점차 쌓여 가고 있다.
부산항 부두 관계자는 "화물연대에 소속되어 있지 않은 차량들이 운행을 하고 있지만, 현재 물량을 소화하기에는 부족한게 현실"이라고 말했다.
부산경찰도 이번 화물연대의 총파업에 부산경찰청장 주재로 현장점검 및 대책회의를 개최해, 운송방해·폭력시위 등 운송거부 과정에서 발생하는 불법행위에 대해서는 법과 원칙에 입각하여 엄정대응키로 했다.
경찰은 신선대부두 등 부두 5개소와 물류터미널·도로 등 총 14개소에 38개 상설중대와 경찰관 700여 명 등 총 4000여 명을 동원하고, 소규모 단위 선전전 등 산개투쟁 형태의 운송방해 행위에 대해 형사33개팀을 특별 편성했다. 지구대 경찰관·112순찰차, 교통순찰차 등 가용 경력을 총 동원하여 거점 및 순찰 활동에 집중 배치했다.
부산시도 이번 화물연대 파업 대비책으로 환적 화물차량에 대한 과적단속 유보, 8톤이상 자가용화물차 유상운송허가, 야드트레일러(Y/T차량) 임시운행 허용,고의적 화물운송방해 불법주, 정차 단속 조치를 취하기로 하고 상황에 따라 군 수송차량 및 타 지역차량 동원하기로 하는 등 화물연대 총파업에 대해 비상수송대책을 마련했다.
부산시 홍기호 교통국장은 "이번 화물연대의 파업사태가 원만히 해결되기를 바라며, 관계기관과 협업체계를 구축하여 비상수송대책에 만전을 기할 방침"이라고 밝히고, "화물운송업계, 운송종사사 및 시민들의 적극적인 이해와 협조를 부탁드린다"고 당부했다.
또, 부산해양수산청과 부산항만공사는 화물연대 컨테이너 수송차량이 운행을 거부함에 따라 한 터미널에 내린 뒤 다른 터미널로 옮겨서 배에 실어야 하는 타 부두 환적화물이 가장 큰 문제라고 보고 있다. 하루평균 800개 가량에 이른다.
해수청과 항만공사는 부산신항의 터미널과 터미널 사이에 있는 울타리를 열고 타 부두 환적화물을 부두 안에서 야드 트레일러로 옮기도록 했다. 야드 트레일러의 임시도로운행 허가를 받아 부두 밖 도로를 이용해 다른 부두로 옮기는 방안도 마련했다.
11일부터는 55대의 군수송차량을 지원받아 환적화물 수송에 투입할 예정이다. 부산항에서 컨테이너를 수송하는 차량은 2천250여 대이고, 이 가운데 화물연대 소속은 800여 대라고 부산해수청은 밝혔다.
한편, 정부도 화물연대의 총파업을 명분 없는 불법 파업으로 규정하고 강력하게 대응할 방침이다. 화물연대 소속 컨테이너 운송 차량은 전체 2만1천757대 중 32.2%에 해당하는 7천대 정도로 추정된다. 정부는 화물연대 소속 차량이 집단 운송 거부에 나서면 하루 평균 컨테이너 처리량 3만7천650TEU(1TEU는 20피트 길이 컨테이너 1개)의 32.2%인 1만2천112TEU의 수송에 차질을 빚을 것으로 예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