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경제 이정하 기자 = 고령화 사회에 접어들면서 스마트기기로 인한 20~30대 젊은층과 노년층의 정보격차가 점점 심화되고 있지만 정부가 사각지대 해소를 위한 대책 마련에 여전히 소극적이라는 지적이다.
7일 국회 미래창조과학방송통신위원회 소속 김성수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한국정보화진흥원에서 제출받은 '2015년 연령대별 스마트폰 정보화 종합수준'을 분석한 결과 50대 이상 56.3점으로 20대 133점과 무려 123점 이상 격차가 발생하고 있다. 장노년층의 스마트폰 비이용에 따른 심리적 위축감은 심각한 상황이라는 얘기다.
또 인터넷 비이용의 이유는 42.2%가 '사용방법을 모르거나 어렵다'고 답했다. 그러나 미래창조과학부의 정보격차 해소 예산 135억 1800만원 중 고령층을 위한 정보화 교육에 사용되는 예산은 6억원으로 전체 4%에 불과했다.
김성수 의원은 "관공서의 민원이나 정보조회도 스마트폰으로 간단히 해결할 수 있을 정도로 인터넷 활용이 편리해졌지만, 정작 정보의 이용이 절실한 노인층은 그 혜택을 누리기 어렵다”면서 "고령화 사회에 대비한 노년층의 정보격차를 해소할 수 있는 방안마련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고령화 사회에서 장노년층이 지식정보의 공유를 받지 못하게 되면 결국 사회에서의 고립이 심화될 수밖에 없다"며 "결국 정보격차는 곧 소득격차로 연결될 수 있어, 노인들의 빈곤과 세대 간의 갈등될 소지가 높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