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 국감] 김성수 의원 "미래부, 노년층 '정보화 교육' 예산 6억원 불과"

2016-10-07 15:46
  • 글자크기 설정

[더불어민주당 김성수 의원]


아주경제 이정하 기자 = 고령화 사회에 접어들면서 스마트기기로 인한 20~30대 젊은층과 노년층의 정보격차가 점점 심화되고 있지만 정부가 사각지대 해소를 위한 대책 마련에 여전히 소극적이라는 지적이다.

7일 국회 미래창조과학방송통신위원회 소속 김성수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한국정보화진흥원에서 제출받은 '2015년 연령대별 스마트폰 정보화 종합수준'을 분석한 결과 50대 이상 56.3점으로 20대 133점과 무려 123점 이상 격차가 발생하고 있다. 장노년층의 스마트폰 비이용에 따른 심리적 위축감은 심각한 상황이라는 얘기다.
정보격차 실태조사를 살펴보면 '시대에 뒤쳐진다(34.3%)', '일상생활에 편리함 감소(31%)', '정보나 뉴스습득이 늦음(29.3%)', '사회적 경쟁력 감소(19%)', '인간관계 기회 감소(17.1%)', '사회참여의 기회감소(16.8%)', '비용절감(15.9%)', '경제적 수준 떨어짐(14.7%)', '취업, 이직 기회 감소(11.8%)' 등의 어려움을 느끼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또 인터넷 비이용의 이유는 42.2%가 '사용방법을 모르거나 어렵다'고 답했다. 그러나 미래창조과학부의 정보격차 해소 예산 135억 1800만원 중 고령층을 위한 정보화 교육에 사용되는 예산은 6억원으로 전체 4%에 불과했다.

김성수 의원은 "관공서의 민원이나 정보조회도 스마트폰으로 간단히 해결할 수 있을 정도로 인터넷 활용이 편리해졌지만, 정작 정보의 이용이 절실한 노인층은 그 혜택을 누리기 어렵다”면서 "고령화 사회에 대비한 노년층의 정보격차를 해소할 수 있는 방안마련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고령화 사회에서 장노년층이 지식정보의 공유를 받지 못하게 되면 결국 사회에서의 고립이 심화될 수밖에 없다"며 "결국 정보격차는 곧 소득격차로 연결될 수 있어, 노인들의 빈곤과 세대 간의 갈등될 소지가 높다"고 덧붙였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
언어선택
  • 중국어
  • 영어
  • 일본어
  • 베트남어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