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사드 보복’ ICT업계 영향은?…게임‘걱정’‧통신‘의문’‧정부‘준비’

2016-08-09 14:42
  • 글자크기 설정

미래부‧방통위- 8월중 ICT수출지원반 구성, 함께논의 준비

IT대표 통신업- 당장 관련 없지만, 향후 중국과 협력 의문

중국진출 게임업- 가뜩이나 높은벽, 이중규제 생길까 긴장

[사진 = 연합뉴스 ]


아주경제 송창범 기자 =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사드) 배치에 대한 중국의 경제 보복 확대 우려 속, ICT 관련 정부와 업계의 움직임도 빨라지고 있다.

9일 정부 및 ICT업계 등에 따르면, 아직 ICT분야에서는 중국으로 인한 피해 상황은 발생되지 않았고 다른 업종에 비해 피해를 입을 가능성은 낮지만, 타격이 우려되는 게임업종을 중심으로 혹시 모를 대비에 나섰다.
◆미래부‧방통위- ICT수출지원반‧콘텐츠교류협력팀 ‘대응’

당장 미래창조과학부는 8월 중순 경 ‘ICT수출지원반’을 구성한다. 이를 통해 기업들의 중국수출에 대한 애로사항까지 함께 듣겠다는 계획이다.

미래부 관계자는 “수출지원반은 최근 9개월 연속 하락한 ICT 수출의 대응책을 찾기 위한 목적으로 계획됐으나, 최근 사드 문제가 불거지면서 여기서 함께 중국수출 대책 논의까지 이뤄질 것”이라고 말했다.

실제 계속되는 ICT 수출 감소는 중국의 영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 수출 의존도가 7월 기준으로 무려 51%에 달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기 때문이다. 특히 6월 비중 53% 대비 2%가 줄어든 것을 보면 중국 측의 사드보복 영향이 있었던 것으로 풀이된다.

방송통신위원회 또한 콘텐츠교류협력팀을 통해 동향 파악을 지속한다. 방통위 관계자는 “방송협력은 주로 방송사간 자율적으로 이뤄지고 있다”며 “방통위는 한중 방송협력 강화를 위해 노력중이며, 콘텐츠교류협력팀을 통해 혹시 모를 사태에는 대비하고 있다”고 말했다.

하지만 정부 측은 아직 우려할 만한 수준은 아니라는 입장이다. 정부 측 한 관계자는 “중국과 우리나라 산업은 톱니바퀴처럼 물려가고 있는 만큼, 우리의 수출이 중단되면 중국 또한 피해를 입게 되기 때문에 경제적 보복이 쉽게 진행되지는 않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도 “혹시 모를 사태에는 대비해 부처 간, 그리고 주중국 대사관과 협력해 동향 파악을 지속적으로 하겠다”고 전했다.

◆통신업계- 직격탄 없지만, 향후 중국과 협력부문 ‘의문’

특별한 중국사업이 없는 SK텔레콤, KT, LG유플러스 등 통신3사는 당장 타격은 없겠지만, 최근 글로벌기업과의 협력을 다양하게 하고 있는 만큼 중국 IT기업들과의 향후 행보에 영향이 미칠수 있다는 우려다. 또 중국 관광객 편의를 위해 만든 IT서비스 부분에서도 향후 실효성이 떨어질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실제 SK텔레콤은 O2O 플랫폼 사업을 위해 오는 11월 중국 합자법인 설립을 위한 투자의향서(LOI)를 체결한 상태고, 국내에선 신세계와의 제휴를 통해 중국인들이 손쉽게 무료 와이파이를 사용할 수 있는 서비스인 유커 앱과 와이파이존을 구축해 놓았다.

KT도 최근 차이나텔레콤과 한·중 데이터사업 협력 확대를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했고, 중국 유니온페이와는 모바일 핀테크사업 협력을 확대키로 한 상태다. LG유플러스는 최근 중국 협력사안은 보이지 않지만, 화웨이 스마트폰인 ‘Y6’를 들여왔던 만큼 향후에도 관계를 이어갈 것으로 보고 있다.

즉 우려상황 발생시 즉각적인 문제는 없겠지만 중국과의 협력을 통한 미래사업 기회를 놓칠 우려도 있고, 중국 관광객이 줄어들 경우 중국인을 위해 준비한 ‘유커 와이파이존’‧‘유니온카드’ 등의 효과도 보지 못한채 손해를 입을 우려도 있다.

일단 통신업계 관계자는 “중국에서 특별히 추진하고 있는 사업이 없는 만큼, 직접적인 피해나 타격은 없을 것”이라고 말하면서도 “하지만 국가적인 사안인 만큼 동향은 예의 주시하고 있다”고 말했다.

◆게임업계- 이중규제까지 발생 우려, ‘긴장’ 가득

게임업계는 IT업계 중 가장 큰 타격이 예상되는 만큼 상황을 예의주시하며 긴장하는 눈치다. 글로벌 진출에서, 중국에 가장 공을 많이 들이고 있기 때문이다.

실제 게임업계 한 관계자는 “자국 서비스 보호 정책으로 중국 진출이 어려운 상황에서 이중 규제가 발생하지 않을까 우려된다”며 긴장감을 표출하기도 했다. 가뜩이나 중국 진출 벽이 높은 상황에서 진출이 더 어려워지거나 이미 진출한 게임에도 영향을 받을 수 있다는 우려다.

현재 우리나라 게임업계 1위 넥슨은 중국 매출 비중이 무려 40%다. 엔씨소프트 또한 텐센트 등 현지 파트너사를 통해 PC온라인 5종과 모바일게임 1종을 중국에서 서비스하고 있다.

하지만 이와 중에서도 넥슨은 최근 자사 온라인 게임 '메이플스토리2'와 모바일 게임 '슈퍼판타지워'의 중국 서비스 계약을 체결하며, 자신감을 높였다. 직접진출 방식이 아닌 중국 자국 퍼블리셔를 통해 서비스하기 때문에 문제가 없다는 것이다.

그러나 대부분 게임업체들은 정부와 중국의 눈치로 입장을 명확히 밝히지 못했다. 업계 관계자는 “아직 구체적인 움직임은 없지만 콘텐츠의 일환인 엔터테인먼트에 대한 간접적 규제 움직임을 보면서 예의 주시하고 있다”며 “혹시 모를 변화에 대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 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
언어선택
  • 중국어
  • 영어
  • 일본어
  • 베트남어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