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경제 강승훈 기자 = 대한민국은 심각한 저출산·고령화에 시달리며 새로운 성장동력이 절실한 상황이다. 일·가정 양립을 통한 여성인력 활용은 출산율과 경제성장을 동시에 높일 수 있는 방안으로 제시된다. 강은희 여성가족부 장관은 "여성의 경제력 향상에 따른 가계소득 증가와 가족친화적 사회문화가 출산 인구를 늘리고 경제 활력소로 작용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 '일·가정 양립 문화' 정착을 위한 여가부의 핵심 정책은 '가족친화인증제' 확산이다. 그간 성과와 향후 일정은.
- 남성의 육아휴직 확대가 왜 중요한가. 또 장시간 근무로 대변되는 기업문화를 어떻게 개선할 수 있을지.
"맞벌이가구 남성의 가사노동시간이 40분인 반면 여성은 이보다 5배 가량 많은 3시간14분에 달한다. 아빠가 1~2개월 휴직 만이라도 제대로 육아에 참여하고 자녀와 애착관계를 맺으면, 그 이후 가정도 적극적으로 돌보고 평생 친밀한 가족관계를 유지하는 밑거름이 된다.
다수의 회사에서는 처음 어디서부터 어떻게 오랜 관행을 바꿔 나갈지 막막하다. 여가부가 얼마 전 펴낸 '핵심전략 35'란 구체적 일·가정 양립 실천방안을 담은 종합안내서가 모범답안이 될 것으로 본다. 관련 법·제도, 우수 프로그램 등을 총 망라해 기업 여건과 특성에 맞게 제도를 도입토록 안내한다. 최근에 국내 주요 기업체 경영진이 직접 참여하는 '기업문화 개선 캠페인'도 추진 중이다."
- 경력이 끊어진 여성들에게 다시 일터로 돌아갈 것을 평소 강조한다. 당장 청년층도 일자리 부족에 시달리는데 이 문제를 풀어갈 계획은.
"과거 IT업체를 경영하던 시절 경력단절 여성을 채용해 함께 일한 경험이 있다. 어렵게 다시 직장으로 복귀한 만큼 자부심과 책임감이 무척 강하고 성과도 남달랐다. 문제는 첫 스타트를 어떻게 끊을지 도와줄 곳이 필요하단 것이다. 이들을 대상으로 한 재취업 지원기관인 전국 150개소의 '여성새로일하기센터'는 언제나 열려 있다. 진로상담에서 개인별 맞춤형 직업훈련 등을 돕는다. 이어 구인구직 및 인턴십 연계, 동행면접에 이르는 말 그대로 '원스톱 풀패키지'로 제공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