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8일 미래창조과학부에 따르면 기후변화 관련 13개 부처에서 수행하고 있는 총 718개 과제(올해 총 4833억원)의 연구개발 진행 상황을 종합적으로 파악하고, 관리할 수 있는 '기후변화대응기술 확보 로드맵(CTR)'이 완성됐다.
기후변화대응기술은 국제사회에서 신기후체제의 해법으로 지목하고 있는 온실가스 감축의 핵심 수단이다. 정부는 앞서 2030년 배출전망치(BAU)에서 37%를 줄이겠다는 목표를 정하고, 확보해야 할 10대 기후기술과 50개 세부기술을 정한 바 있다.
10대 기후기술은 태양전지, 연료전지, 바이오연료, 이차전지, 전력IT, CCS(이산화탄소 포집 및 저장기술), 부생가스 전환, 이산화탄소 전환, 이산화탄소 광물화, 공통 플랫폼 기술 등을 말한다.
로드맵은 크게 탄소저감 기술, 탄소활용 기술, 기후변화적응 기술 등 3대 부문별 총 50개의 연구군으로 구성됐다. 구체적으로는 각 연구군별 세부 연구과제(총 718개)들의 진행 현황 및 계획, 주요 예상 성과 및 도출 시점, 연구결과 활용 계획 등에 대한 내용이 담겼다.
정부는 이번에 완성된 로드맵을 토대로 △충실한 R&D 지원 △R&D 성과활용 극대화 △전략적 홍보와 안내 등에 적극 활용한다는 입장이다.
우선 전 부처 기술개발 진행상황 관리를 통해 중복투자 방지 등 연구개발투자 효율성을 제고하고, 보완 연구팀 발족이나 대체 기술개발 착수 등 위험관리에 쓰기로 했다. 공백기술과 관련 과제 파악 등을 통한 신규 과제 기획에도 용이하게 쓰겠다는 계획이다.
또 로드맵을 통해 다양한 기후산업의 아이디어와 모델을 추진하고, 다양한 단위 기술들을 조합해 기후기술에 기반한 산업모델의 구성의 성공 가능성을 높이겠다는 구상이다. 전체 기술진행 상황에 대한 정보를 토대로 협력전략의 수립과 추진도 용이해질 것으로 분석됐다.
현재의 개별 단위과제의 산발적 연구성과를 단순 소개가 아닌 주기적(주 단위, 월 단위, 분기 단위)으로 홍보하고, 기후기술전시회 등 다양한 방법을 통한 국민의 관심도 끌겠다는 방침이다. 이와 함께 공공부문이 수행하고 있는 기후기술 개발에 대한 종합적 정보 제공으로 투자자들의 관심을 제고하기로 했다.
김진우 미래부 원천기술과장은 "이번에 마련한 로드맵을 토대로 2030년까지 매년 1~2회 주기적으로 업데이트해 기후기술 기반의 온실가스 감축이 효과적으로 이행될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면서 "로드맵의 효과를 면밀히 검토하고, 작성·관리·활용 등에 있어 부족한 점을 지속적으로 보완할 계획"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