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 해역에는 모두 32건, 255만㎡ 규모의 바지락 양식장이 운영되고 있다.
인천 해역의 여름철 바지락 폐사 원인은 대부분 고온·밀식·산란·폭우에 의해서다.
바지락의 산란기는 고수온기인 6~8월로 이때 기온이 30℃일 때 갯벌온도는 37~39℃까지 상승해 산란 후 생리적으로 약해져 폐사가 발생한다.
이에 따라 성장 중인 어린 바지락은 서식밀도를 낮추고, 간조 시 갯벌 어장에 해수가 고이지 않도록 물골 정비와 바지락이 충분히 깊게 잠입할 수 있도록 어장을 15~20cm 깊이까지 경운해 저질을 부드럽게 하는 등 적극적인 어장 관리가 필요하다.
시 관계자는 “현재까지는 인천 해역 바지락 양식장에서 고수온에 의한 피해는 발생하지 않았지만, 지속적으로 어장 예찰을 실시해 고품질 바지락 양식 기술보급에 노력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