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 하천 유기물 분해 수생균류 3종 발굴

2016-06-15 15:30
  • 글자크기 설정

수생균류 발굴 및 활용연구 국내 첫 시도

하천 내 유기물분해 수생균류 활용 수질환경개선 연구 본격 추진 계기 마련

아주경제 피민호 기자 =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관장 안영희)은 낙동강 수계 및 인접지역을 대상으로 ‘담수생물자원 조사·발굴’ 사업(2015년 9월~ 12월)과 현지조사를 수행한 결과 영주 죽계천과 금계천, 삼척 소한천에서 각각 1종의 수생균류 미기록종(3종)을 발견·확인했다고 밝혔다.
3종의 미기록종은 모두 자낭균문에 속하며, 살갗버섯목(Helotiales)의 2종(Margaritispora aquatica, Articulospora tetracladia)과 동충하초목(Hypocreales)의 1종(Aquanectria penicillioides)이다.
이번 수생균류 미기록종 발굴은 담수균류 분포에 대한 본격적인 조사 결과로 하천에서 낙엽부식성 수생균류의 존재를 국내 최초로 확인했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수생균류는 곰팡이의 일종으로 물속에서 사는 균류를 말한다.
용존산소가 풍부한 청정 하천에 주로 존재하며, 수중에서 분해 중인 나뭇잎이나 유기물 기질에서 많이 발견된다.
수생균류는 세포 밖으로 분비되는 효소가 잎조직을 분해해 수서곤충이 섭식하기 좋은 형태로 변환시키는 등 하천생태계의 유기물 분해와 먹이그물망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며 담수환경의 생물다양성 증대에 기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수생균류는 유럽과 북미 등지에서 활발히 연구되고 있으나 국내에서는 미개척 분류군이다.
담수생태계에서 수생균류의 기능 규명과 미래 유용생물자원의 선점, 친환경 수질환경 개선기술 개발 기반마련 측면에서 지속적이고 체계적인 조사 및 연구가 필요하다. (※ 관련문헌 조사에 따르면, 수생균류는 카드뮴, 아연 등 중금속 흡착에 관여한다고 보고된 바 있음)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은 이번 조사에서 발견된 수생균류에 대해 향후 세부적인 연구를 통해 국내·외 학술지에 투고하는 등 검증과정을 거쳐 공식적으로 기록할 예정이다.
안영희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장은 “이번 조사를 통해 확인된 자생 수생균류의 다양성을 토대로 담수환경에 서식하는 수생균류의 기능 규명 연구를 본격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다.”고 밝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
언어선택
  • 중국어
  • 영어
  • 일본어
  • 베트남어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