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여군, 왕포천 생태하천으로 탈바꿈

2016-06-09 11:15
  • 글자크기 설정

- 검증된 특허 기술인 생태적수질정화비오톱 적용...왕포천 생태계 복원 -

▲생태하천으로 복원된 왕포천 모습[사진제공=부여군]


아주경제 허희만 기자 =금강 상류 부여군 왕포천이 생태하천으로 거듭났다.

 왕포천 일원은 하수종말처리수, 농촌하천의 비점오염원 등으로 수질오염 및 생태계 파괴가 문제됐던 금강 상류지역으로 오염물질을 생태적으로 정화하는 생태습지와 황토길, 지압길 등 군민 휴식공간으로 복원됐다.
 부여군(군수 이용우)은 깨끗한 하천과 휴식공간을 지역민에게 돌려주기 위해 왕포천 복원사업에 총사업비 29억원(국비 70%, 지방비 30%)을 투입, 2014년 5월 공사를 착수하여 2016년 6월에 준공했다.

 변찬우 상명대학원 교수가 참여한 이번 복원사업에는 수질정화 및 생태계 복원효과가 검증된 다기능 ‘생태적수질정화비오톱’ 시스템(특허 제10-0444972호 등, 환경신기술 제 258호)이 적용되어 왕포천 수질을 크게 개선했다.

 이 시스템은 국내의 다양한 장소에 적합하게 연구, 개발, 적용된 자연수면형 인공습지로 오염원을 자연유하방식으로 처리하고 생태공원을 조성하는 기술이다.

 생태습지 처리규모는 부여하수종말처리장수 1,500~3,000㎥/d (필요시 하천수 유입의 경우, 1,500 ~7,000㎥/d)이다. 유입수가 부여하수종말처리장 방류수의 평균일 때, 예상처리효율은 BOD 62.3%, SS 85.1%, 총질소 35.7%, 총인 80.9%이며, 점·비점 오염원을 생태적으로 줄여 향후 금강 수질개선에 큰 도움이 될 전망이다.

 최근 준공 전 생태환경모니터링 결과, 평균 BOD의 경우 73.1%의 높은 처리효율을 보였으며, 습지 내 얼룩동사리와 같은 한국고유종의 복원과 수달(환경부지정 멸종위기야생동물Ⅰ급, 천연기념물 제 330호), 원앙(천연기념물 제 327호)등 다양한 야생동물이 살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군 관계자는 “왕포천 생태습지를 주요 거점으로 금강 유역의 생태계와 서식처가 연계되고, 하천을 따라 이동하는 종의 서식처로도 큰 역할을 하리라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또한 “앞으로 왕포천 주변은 지역 최고의 생태환경 명소로써 궁남지, 백제 오천결사대 충혼탑, 국립부여박물관 등과 함께 역사와 생태가 만나는 역사·문화체험코스로 각광받을 것”이라고 기대감을 보였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
언어선택
  • 중국어
  • 영어
  • 일본어
  • 베트남어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