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경제 최주호 기자 =경북도는 소나무 재선충병을 옮기는 솔수염 하늘소와 북방수염하늘소의 우화시기에 맞춰 피해가 극심한 포항, 경주, 안동, 구미를 포함한 16개 시·군에 지상방제 2886ha와 항공방제 1350ha를 실시하고 있다고 8일 밝혔다.
항공방제는 소나무재선충병 집단발생지, 선단지, 확산우려지 등을 대상으로 매개충 최초우화 시기에 맞춰 1차 방제는 완료했고, 매개충 우화가 가장 많은 7월 1일까지 2회에 걸쳐 반복 살포한다.
5월말까지 3회에 걸쳐 연막기와 분무기를 이용해 약제를 살포했으며, 매개충의 활동이 종료되는 10월 하순까지 2주 간격으로 집중적으로 방제할 계획이고, 오전 5~12시 사이에 방제한다.
방제에 사용되는 약제(티아클로프리드 액상수화제, 아세타미프리드 액제)가 꿀벌 등의 생육·환경에 미치는 영향은 별로 없지만 꿀벌 사육지역, 양어장, 누에 사육 지역 등은 약제살포 대상에서 제외했다.
시·군에서는 반드시 약제살포 1주일 전에 살포예정지 주변 주민 및 이해관계인 등에게 약제살포 사실을 알리고 필요한 조치를 하도록 안내해 피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주의를 당부했다.
한명구 도 산림자원과장은 "항공방제는 재선충병 방제방법 중 방제비용이 적고 효과가 크지만 주택지, 양봉·가축 등 피해가 우려되는 지역에 대해서는 지상방제를 추진하고 있다”면서 산주, 지역주민들의 이해와 적극적인 협조를 당부했다.
또한 “소나무재선충병 방제기간에는 솔잎과 산나물 채취 등을 위한 입산금지, 약수터 식수 사용을 금지하고, 해당 지역 주민들은 빨래나 음식물에 약물이 묻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