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선 바이오 중기 육성전략에 따라 정부의 바이오 연구개발(R&D) 투자를 확대하고 세제 지원, VC 활성화 등 민간 R&D 투자 유인 수단을 확충할 방침이다. 또 부처별 R&D 역할을 명확히 설정해 중복 투자를 최소화하고, 바이오 창업 생태계 조성을 위해 창업 초기기업 지원펀드 800억원을 신규 조성하기로 했다.
바이오 클러스터 육성방안을 마련해 지역별 바이오 클러스터 운영을 효율화하고 클러스터 간 유기적 협력시스템도 구축한다. 안전성평가를 위한 R&D 투자도 늘리고 심사인력의 전문성을 높여 규제관리 기초역량을 제고하는 방안도 추진한다.
바이오의약품은 ‘생물학적제제 등의 품목허가 심사규정’을 개정해 신속심사 대상을 확대하고, 합성신약 등에 대한 신속심사를 위해 법률도 제정한다. 치료재료 별도산정 및 가치평가 기준 명확화 등 6개 규제도 개선할 계획이다.
정부는 바이오 창조경제 10대 활성화 프로젝트 추진방안의 일환으로 △창업유도 R&D △가치성장 R&D △R&D연계 오픈이노베이션 등을 창출할 방침이다.
창업을 유도하기 위해서는 R&D를 중심으로 비즈니스모델 개발·MD의 아이디어를 발굴·개발, 창업 보육 프로그램 등을 병행지원한다. 기업․제품의 가치 상승을 위해서는 시설·장비 제공 및 테스트베드, IT플랫폼 연계 등 R&D 뿐만 아니라 패키지로 지원한다.
이와 함께 기업 수요를 기반으로한 매칭형 R&D 프로그램, 기업인수합병(M&A)을 목적으로 한 특수목적법인 설립지원, 바이오특화 금융전문인력양성 등도 추진할 계획이다. 미래부는 10대 프로젝트를 중심으로 향후 3년간 1300억원을 지원, 민간의 자생적인 생태계 안착을 지원할 계획이다.
정부는 이번 특위에서 관계부처 합동으로 수립한 바이오미래전략 이행실적과 성과를 점검한 결과도 보고받았다. 바이오미래전략은 우리가 강점을 지닌 분야를 중심으로 R&D부터 임상·사업화, 규제개선 등 패키지로 추진하는 전략이다.
미래부·산업부·복지부·식약처 등 관계부처는 실무점검단을 구성·운영해 지난 4월부터 이행실적을 점검했다. 점검 결과에 따라 각 부처는 미래전략 수립 내용을 충실히 이행함과 동시에, 미래전략 관련 산업에 다양한 사회적 파급효과를 유도했다고 평가됐다.
홍남기 미래부 제1차관은 “바이오는 IT 이후 우리나라의 주력산업을 이어갈 미래 먹거리”라며 “오늘 확정된 ‘중기 육성전략’과 ‘10대 프로젝트’가 연구·산업 현장에서 효력을 발휘해 미래 신시장 창출로 이어질 수 있도록 관계부처와 공동 노력해가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