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4월 대북 수입 규모 22.3% 감소

2016-05-24 12:01
  • 글자크기 설정

훈춘 권하세관을 통해 북한으로 가는 중국의 화물차들.


아주경제 베이징특파원 조용성 기자 = 중국이 북한의 핵실험과 관련한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안보리)의 대북제재 결의를 본격적으로 시행한 4월의 대북 수입규모가 전년 동기보다 20% 이상 급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북·중간 전체 교역액도 전년 동기보다 10% 이상 줄어들어 중국의 대북제재가 상당히 가시적인 효과를 보인 것으로 풀이된다.

코트라 베이징무역관이 24일 공개한 중국 해관총서의 북·중 4월 교역 통계자료에 따르면, 이 기간 중국의 대북 수입액은 1억6138만 달러(약 1922억원)로 지난해 4월에 비해 22.35% 급감했다. 품목별로는 북한의 대중 석탄 수출액은 7227만 달러로 전년 동기보다 38.34%나 줄었고 납의 경우도 456만 달러로 16.12% 감소했다. 금을 비롯한 귀금속류는 37.06% 감소했으며 특히 중국이 전면 금지품목으로 지정한 티타늄의 경우 수입액이 전무했다.

그러나 민생과 관련없는 부분이 금지품목으로 지정된 철광석은 전년도 4월보다 오히려 19.38% 증가했으며 아연은 570만 달러로 무려 685%나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일각에서는 아연 수출이 대폭 늘어난 것을 두고 북한이 금지 또는 제한 품목이 아닌 다른 금속류의 대중 수출을 전략적으로 늘린 게 아니냐는 관측도 나오고 있다.

중국의 대북 수출액은 2억6800만 달러로 1.53% 감소했다. 항공유가 포함된 정제유는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6.11% 감소한 것으로 파악됐다. 운송용 자동차와 전자장비의 경우 수출액이 각각 45.46%와 43.95% 감소했지만, 농산물과 의류 등의 수출은 크게 영향을 받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4월 북·중간 전체 교역액은 4억2941만 달러로 전년 동기에 비해 10.54% 줄었다. 중국 상무부는 대북제재 결의안이 도출된 약 한 달 뒤인 지난달 5일 구체적인 결의 이행 조치로 북한으로부터 수출입을 금지하는 품목 25종을 발표하고 곧바로 시행에 들어간 바 있다.

수입금지품목에는 석탄, 철, 철광석과 함께 금, 티타늄, 바나듐광, 희토류 등 해관이 분류하는 상품코드를 기준으로 총 20종이 포함됐다. 앞서 북·중 간 3월 교역액은 4억9천여만 달러로 전년 동기보다 약 20% 증가했었다. 3월은 대북제재 결의안이 채택됐지만, 중국이 중앙정부 차원에서 결의 이행에 본격적으로 돌입하기 전이었다.

중국이 앞으로도 대북제재를 충실히 이행할 경우 북 중간 무역이 한층 위축돼 북한의 외화벌이에도 상당한 차질을 빚을 것으로 전망된다.

대북 소식통은 24일 "우선 4월에 북·중 교역액이 대폭 줄어든 것은 대북제재 이행이 실제 결과로 나타난 것으로 볼 수 있다"면서 "앞으로 2∼3개월간 북·중 교역 동향이 어떻게 나타날지가 중요하다"고 말했다. 

한편 지난 1월부터 4월까지 넉달간 중국의 대북 수입액은 7억3천5만 달러로 전년 동기보다 3.1% 감소했다. 같은 기간 중국의 대북 수출은 8억7636만 달러로 4.9% 늘어났다. 이에 따라 올해 1∼4월의 북·중 교역은 16억641만 달러로 전년 같은 기간보다 1.11% 증가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
언어선택
  • 중국어
  • 영어
  • 일본어
  • 베트남어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