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경제 김봉철 기자 = 대우조선해양이 20일 주채권은행인 산업은행에 경영 정상화를 위한 추가 자구안을 제출한다.
추가 자구안에는 임원진 및 조직 추가 축소 개편, 희망퇴직을 통한 추가 인력 감축, 임금 동결 및 삭감, 순차적 독(dock·선박건조대)의 잠정 폐쇄, 비핵심 자산 매각 강화 등이 포함될 것으로 알려졌다. 대우조선의 핵심 사업 중의 하나인 방산 부문은 포함되지 않았다.
대우조선해양은 지난해 채권단 지원이 결정되면서 2019년까지 인력 2300여명을 추가로 감축해 전체 인원을 1만명 수준으로 줄이는 등 1조8500억원 규모의 자구계획을 세운 바 있다.
대우조선해양은 올해 매출 13조7000억원, 수주 108억 달러를 목표로 했으나 현재까지 수주는 지난 3월 자회사에서 따낸 수에즈막스 탱커 2척을 대우조선이 인수한 것이 전부다.
대우조선뿐만 아니라 조선 ‘빅3’ 중의 하나인 현대중공업과 삼성중공업도 이미 주채권은행에 자구안을 낸 상태다.
현대중공업은 과장급 이상 대규모 희망퇴직을 발표했고 삼성중공업은 재무구조, 경영 개선, 유동성 관리 등 3개 분야 자구안을 냈다.
추가 자구안에는 임원진 및 조직 추가 축소 개편, 희망퇴직을 통한 추가 인력 감축, 임금 동결 및 삭감, 순차적 독(dock·선박건조대)의 잠정 폐쇄, 비핵심 자산 매각 강화 등이 포함될 것으로 알려졌다. 대우조선의 핵심 사업 중의 하나인 방산 부문은 포함되지 않았다.
대우조선해양은 지난해 채권단 지원이 결정되면서 2019년까지 인력 2300여명을 추가로 감축해 전체 인원을 1만명 수준으로 줄이는 등 1조8500억원 규모의 자구계획을 세운 바 있다.
대우조선해양은 올해 매출 13조7000억원, 수주 108억 달러를 목표로 했으나 현재까지 수주는 지난 3월 자회사에서 따낸 수에즈막스 탱커 2척을 대우조선이 인수한 것이 전부다.
대우조선뿐만 아니라 조선 ‘빅3’ 중의 하나인 현대중공업과 삼성중공업도 이미 주채권은행에 자구안을 낸 상태다.
현대중공업은 과장급 이상 대규모 희망퇴직을 발표했고 삼성중공업은 재무구조, 경영 개선, 유동성 관리 등 3개 분야 자구안을 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