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채누적에 따른 이자비용 증가로 가계와 기업의 소비·투자를 위한 신규차입 여력이 제한되면서 신용이 감소세로 돌아서고 부채위기가 발생할 수 있다는 우려다.
우리나라 역시 연일 사상 최대치를 경신 중인 가계 부채와 한계기업으로 대표되는 기업부채 건전성 문제로, 세계 주요국 중 국내총생산(GDP)대비 민간부채 비율이 7위에 달한다. 이에 국제통화기금(IMF)까지 민간부채 위험성을 지적하며 위기감이 높아지는 상황이다.
15일 국제금융센터에 따르면 세계 주요국 중 중국·호주·스웨덴·홍콩·한국·캐나다·노르웨이 등 7개 국가는 민간부채가 GDP 대비 175%를 초과하고, 연간 증가 규모가 GDP의 10% 이상으로 민간부채 위험국가에 해당한다.
특히 세계 경제성장을 이끌어 온 중국의 경우, 성장세 둔화와 과잉설비 등에 따라 사실상 이자지급이 어려운 기업의 부채규모가 1조3000억 달러에 달해 전체의 1/7이며 은행 손실규모는 GDP의 7%에 해당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국제금융센터 관계자는 "2009년 이후 그리스 등 유로존 국가의 높은 정부부채가 세계 경제의 주요 불안요인으로 지목됐지만, 2008년 미국발 금융위기나 1980년대말 일본의 금융위기의 원인은 민간부채의 과도한 누적에 기인했다"고 설명했다.
그는 이어 "2016~17년 중 세계 금융시장의 과도한 유동성과 신흥국 경기부진 지속 등으로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를 넘어서는 수준의 위기발생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고 지적했다.
우리나라도 가계부채가 지난해말 기준 1207조원에 달했으며, 기업의 총부채는 지난해 1분기 기준 2347조원을 기록할 정도로 상황이 좋지 않다.
우리나라의 GDP 대비 민간부채 비율은 2008년 금융위기 당시 175%를 넘은 이후 2011년 180.2%, 2013년 184.5%, 2014년 189.6%로 꾸준히 증가해 현재 200%에 육박하고 있다.
딩 딩 IMF 아태국 선임연구원은 "한국의 가계대출은 향후 이자율 상승의 위험에 노출됐고, 기업대출도 소수의 회사에 집중됐다"며 "이 회사들의 유동성이나 수익성도 나빠 향후 금융 안정을 저해하는 위험 요소가 될 수 있다"고 지적한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