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6/05/07/20160507163151427555.jpg)
아주경제 이수경 기자 = 7일 개막 이틀째를 맞은 제7차 북한 노동당 대회에서 김정은 국방위원회 제1위원장의 당 중앙위원회 사업총화 보고가 전날부터 이어지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북한 관영매체인 조선중앙통신은 "김정은 동지께서 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 사업총화 보고를 시작하시였다"며 "당 중앙위원회 사업총화 보고는 2일(차) 회의에서 계속된다"고 전날 밤 보도했다.
36년 만에 개최된 당 대회는 전날 오전 평양 4·25 문화회관에서 김 제1위원장의 개회사와 함께 시작됐다. 1980년 10월 같은 장소에서 열린 6차 당 대회 당시 김일성 주석은 대회 첫날 1970년 5차 당 대회 이후 10년간의 성과와 향후 과제를 5~6시간 동안 3천여 명의 당 대표자들에게 보고했다.
정부의 한 소식통은 6차 당 대회 때 하루에 끝난 당 중앙위 사업총화 보고가 이틀째 이어지는 이유에 대해 "사업총화 기간이 36년으로 길고, 보고 분야가 다양하기 때문인 것 같다"고 분석했다. 체력 소진 등을 이유로 일정을 늘렸을 가능성도 제기된다.
첫날 사업총화 보고에서는 김 제1위원장이 6차 당 대회 이후 김일성·김정일의 업적을 칭송하고 자신의 집권기 치적을 과시했을 것으로 예상된다. 당 최고지도자가 직접 나서는 중앙위 사업총화 보고에는 사상, 정치, 군사, 경제, 대남·대외 등 모든 분야가 망라된다.
김 제1위원장은 전날 사업총화 보고에서 1980년 6차 당 대회 이후 36년 동안을 "더없는 준엄한 투쟁의 시기였으며 위대한 전변이 이룩된 영광스러운 승리의 연대였다"고 평가한 뒤 "우리당과 인민이 사회주의 건설에서 이룩한 자랑찬 성과는 일심단결의 정치사상강국, 불패의 군사강국을 일떠세운 것"이라고 평가했다고 조선중앙TV는 보도했다.
우리 정부는 김 제1위원장이 당 대회 개회사에서 기존의 '핵-경제 병진노선'을 사실상 재확인함에 따라 북한이 대남·대외 분야에서 새로운 획기적인 제안을 하지는 않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당초 통일부는 당 대회 1일차에 당 중앙위 사업총화 보고와 대회 집행부 구성, 2일차에는 당 중앙검사위원회 사업총화 보고와 당규약 개정 토의, 결정서 채택, 3일차에는 당 중앙위원회 위원과 후보위원, 당 중앙검사위원회 위원 선거와 폐회사가 각각 차례로 진행될 것으로 추정했다.
그러나 당 중앙위 사업총화 보고가 2일 차에도 이어지면서 대회 기간은 예상보다 하루 더 길어질 수도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이에 따라 군중 시위와 부대행사는 오는 8일 열릴 가능성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