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D금리 담합 의혹' 내달 결론날 듯…은행권 소명절차 끝내

2016-04-06 07:51
  • 글자크기 설정

[사진=아이클릭아트]


아주경제 장슬기 기자 = 이르면 다음 달 중 시중은행의 양도성예금증서(CD)금리 담합 사건과 관련한 은행들의 제재가 결정날 전망이다.

6일 공정위원회와 금융권에 따르면 신한, KB국민, KEB하나, 우리, 농협, SC 등 6개 은행의 CD 금리 담합 의혹에 대한 소명 의견서 제출 기한이 지난 4일로 만료됐다. 이들 은행은 각 대형 로펌을 선임해 적극적으로 소명에 나선 것으로 알려졌다.
공정위는 은행들의 의견서를 검토한 이후 이르면 다음 달 전원회의(공정위 의결조직)를 열어 위법성 여부를 결정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번 사건의 쟁점은 2011년 12월부터 2012년 7월까지 시중금리가 0.29%포인트 하락했는데 CD 금리는 0.01%포인트 하락에 그친 배경이다.

은행들은 CD 금리에 가산금리를 얹어 주택담보대출 등 대출금리를 정하다가 CD 금리 담합 논란이 일자 2012년 12월 코픽스(COFIX·자본조달 비용을 반영한 주택담보대출 기준금리)를 새로 도입했다. 이전까지는 CD 금리가 높을수록 은행들의 이자 수익이 높아지는 구조였다.

은행권 담당자들이 모여 금리 수준을 담합한 결과 CD 금리의 변동성이 제한됐다는 게 공정위의 잠정적 판단이다. CD 금리는 원칙적으로 증권사들의 매매 과정에서 결정되는 것이지만 실제로 은행이 금리 결정권을 갖고 있다고 본 것이다.

하지만 은행들은 CD 금리 변동성 감소는 2010년부터 CD 발행액이 급감하면서 나타난 현상일 뿐 인위적 담합은 없었다는 입장이다.

당시 CD 금리가 은행 단독으로 결정할 수 있었던 것이 아니라 금융당국의 지도 사안이었던 점도 쟁점이다. 은행권은 금융당국의 '행정지도'에 따라 발행량을 줄이다 보니 금리가 움직이지 않은 것이라고 주장하고, 공정위는 은행들이 행정지도를 넘어선 수준으로 담합한 게 아니냐는 혐의를 두고 있다.

금융당국의 '행정지도' 등 CD 금리를 결정하는 시장 구조상 한계가 있다는 지적이 제기되는 만큼 공정위가 이런 점을 어떻게 극복할지가 관심사다.

한편 이 사건에는 주요 시중은행 6곳이 연루돼, CD 금리 담합이 있었다면 피해를 본 소비자는 수십만에서 수백만명에 이를 수 있다. 금융소비자원은 벌써 집단 소송을 준비 중에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