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경제 박상훈 기자 ="조선어 철자기 만든 최윤선 씨를 찾습니다."
국립한글박물관(관장 문영호)은 2016년 첫 기획특별전 '슬기롭게 사이좋게-초등 교과서 속 한글 이야기'를 개최 중이다. 이 전시회는 오는 5월 29일까지 진행된다.
전시장에는 광고지 원본과 함께 원본(지름 9㎝)보다 2배 정도 큰 철자기 복제 모형이 마련되어 있다.
한글박물관 측에 따르면 조선어 철자기는 1936년 당시 그 실용성과 독창성을 인정받아 '실용신안 194903호'로 등록되었으며, 동아일보(1936년 4월 17일)와 매일신보(1936년 4월 17일)에 '혜화동 39번지에 살던 최윤선이 10년이라는 오랜 세월을 들여 철자기를 만들었으며, 이를 큰 모양으로 만들어 학교에서 교수하는 데 쓰면 매우 효과적일 것이라 조선어 학회에서 추천하였다'는 내용이 보도되기도 했다.
하지만 조선어 철자기의 발명자이자 저작권을 가진 최씨에 대한 정보는 자세히 남아 있지 않다. 당시 실용신안등록 제도는 '특허국' 관할로 1908년부터 시행되었다. 현재 이 제도를 담당하고 있는 특허청은 1948년에 설립되어, 이전 시기의 자료는 다루지 않는다.
국립한글박물관 측은 "이러한 사정으로 최윤선 씨 또는 최씨의 후손을 만나는 일이 쉽지 않은 형편"이라며 "조선어 철자기라는 귀중한 한글 자료가 더욱 빛날 수 있도록 관련 제보를 기다리고 있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