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장애인 삶의 질 향상 앞장… 작년 1만4000명에 맞춤형 보조기구 지원

2016-04-01 07:46
  • 글자크기 설정

  [보조서비스센터 이용 장애유형 및 경제상황 현황. 표=서울시 제공]


아주경제 강승훈 기자 = # 방송통신대 교육학과 4학년에 재학 중인 김지원(56·뇌병변 1급)씨는 뇌성마비로 인해 다른 사람의 도움을 받아 컴퓨터를 사용했다. 불가피하게 주위에 아무도 없을 땐 막대를 입에 물고 힘겹게 키보드를 눌렀다. 그러던 중 올해 초 보조공학서비스 IT보조기구 지원사업으로 스마트나브를 지원받았다. 이 장비는 일반 마우스를 쓰기 어려운 이들이 신체나 안경 등에 반사체 센서를 붙여 작동하는 특수장비다. 김씨는 이후 인터넷 검색과 학교 공부, 작문 등 다양한 활동을 쉽게 소화하고 있다.

서울시가 장애인 개개인에게 맞춤형 보조공학 서비스를 제공해 좀 더 편한 일상생활이 가능토록 도와 호응을 얻고 있다. 시는 서울시보조공학서비스센터 3곳(강동·노원·강서지역)을 이용한 시민이 작년 총 1만4000여 명으로 집계됐다고 1일 밝혔다.
2015년 이용시민이 가장 많은 곳은 강동센터(6453명)였고 강서(3812명)·노원(3687명)센터가 그 뒤를 이었다. 보조서비스센터를 찾는 장애유형을 살펴보면 뇌병변 장애 47.6%(6644명), 지체장애 30.7%(4280명) 등으로 이용률이 높았다. 반면 청각장애를 가진 이들은 0.9%(127명)로 저조했다.

경제상활별 이용 현황에서는 국민기초생활수급자와 차상위계층이 각각 28.4%(3964명), 9.3%(1306명)를 차지해 생활이 힘든 이들에게 큰 도움이 되고 있었다.

서울시 보조공학서비스센터에서 제공 중인 내용은 △보조기구 및 무료보급 △보조기구 맞춤제작, 개조수리 △보조기구 소독·세척 △전시 체험장 운영 등이다.

보조기구 임대의 경우 1인당 3개까지 최대 1년 빌릴 수 있다. 대기자가 없는 경우 6개월까지 연장이 가능하며 적응을 위해 2주간 무료 임대가 이뤄진다.

서울시 홍순길 장애인복지정책과장은 "평소 보조기구를 사용하면서도 불편을 겪는 때 서비스센터에서 상당수 해소될 수 있다"며 "아울러 일상생활의 소소한 어려운 점도 더욱 꼼꼼하게 챙겨 서비스를 확대할 것"이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