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경기, 남이섬·자라섬 관광특구 추진 손잡았다!

2016-03-08 09:23
  • 글자크기 설정

[사진=강원도 제공]


아주경제 박범천 기자= 남이섬·자라섬과 제이드 가든을 삼각벨트로 묶는 관광특구 지정이 추진된다.

지난 7일 춘천에서 열린 '한반도 횡단 대들보, 강원-경기 시·군과 함께하는 공생공감톡' 상생협력사업 토론회에서 이 같은 계획이 발표됐다.
이날 토론회는 강원도와 경기도의 행정구역이 연접한 강원도 춘천, 원주, 횡성, 철원과 경기도 여주, 양평, 포천, 가평, 연천 등 9개 자치단체장이 모여 서로의 갈등과 현안을 놓고 최적의 상생협력방안을 모색했다. 

전국 최초로 강원·경기 연접 시·군의 상생협력방안 마련을 위한 이날 토론회에서는 평창동계올림픽, 관광활성화, 연접교통망 등 5개 주제 11개 안건을 놓고 토론을 진행했으며 춘천 남이섬, 가평 자라섬과 제이드가든 등을 삼각벨트로 하는 관광특구 지정에 관한 공동합의문을 발표했다. 

연간 100만 이상의 외국인이 찾는 남이섬·자라섬은 한류관광의 중심지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하지만 맞닿은 지역 경계로 인한 관광지 연계가 결여돼 지역관광 활성화가 제한되는 등 양 도·시 간 협의를 통한 관광특구 조성이 시급한 실정이다.

이번 합의로 가평군 자라섬과 달전리 일원 7㎢와 춘천시 남이섬과 제이드가든을 포함한 7㎢ 등 총 14㎢를 관광특구로 지정해 가평군 소재 자라섬과 도심 일원을 비롯해 춘천시 소재 남이섬과 강촌권 일원의 문화·예술 관광콘텐츠와 주변관광지 연계를 추진하기로 했다.

관광특구에는 외국인숙박시설과 한류면세점, 수상스포츠체험지구 연계, 자라섬 축제장 이용 등 다양한 자원조성으로 양 지역의 관광 활성화를 이끌 계획이다.

하지만 현재 지역이 2개 이상의 시·도에 걸치는 경우 관광특구 지정권자 및 신청권자에 대한 관련 규정이 미비한 상태로, 경기도는 법령해석에 대한 질의와 개정 건의를 추진하고 시·군의 의견을 중재할 방침이며, 가평군은 양 시·군 공동으로 특구진흥계획을 수립해 달라고 춘천시에 요청했다.

반면, 강원도는 춘천시에 미치는 영향 및 시 입장을 고려해 협의하기로 하였으며, 춘천시는 주민의 의견을 충분히 반영한다는 원칙 아래 특구 지정 시 춘천방향에서 진입할 수 있는 수단 마련 및 다양한 편의시설 확보가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일반적인 관광특구 지정 신청권자는 시장·군수로 특구 지정요건을 모두 갖추고 특구진흥계획을 수립해 도지사에게 신청해야 한다.

특구 지정요건은 외국인 관광객 수 연간 10만명 이상, 관광인프라 구축, 관광과 관련 없는 토지비율 10% 미만, 지역의 일체성 등이다. 남이섬의 연중 관광객 수는 300만명으로, 이 중 외국인 관광객 수는 100만명을 넘는다.

한편, 남이섬은 행정구역상 춘천시 관할이나 출입구와 도선선착장·진입로·주차장 모두 가평에 소재한 특수한 상황으로, 특구 지정을 통해 공동 관광자원 차원에서 발전방안을 마련한다는 구상이다.

이러한 특구 조성에는 양쪽이 모두 찬성하나 가평군은 적극적인 반면 춘천시는 신중한 입장이다.
 

[사진=박범천 기자]


춘천시는 남이섬을 기점으로 하는 관광특구 조성 시 새로운 상생협력 비즈니스 발굴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하나 현실적으로 특구조성 시 가평에 효과가 더 클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춘천시는 현재 국비확보를 통해 2000만 관광객 유치를 위한 의암호 삼각관광벨트 조성사업을 추진 중으로 자칫 이번 남이섬·자라섬 관광특구 추진으로 인해 국비 확보에 어려움이 있지 않을까 우려하고 있다.

최동용 춘천시장은 "특구조성에는 찬성하지만 이를 통해 규제를 받는 지역도 있는 만큼 주민들의 의견을 청취해 실무접 촉을 추진하겠다"고 방침을 밝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