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한국 제안 있으면 한국 출신 전사자 DNA 감정 검토"

2016-02-23 17:30
  • 글자크기 설정
아주경제 문은주 기자 = 일본 정부가 한국의 요구가 있으면 일제 강점기에 전사한 한국 출신 전사자의 유골 수습 문제에 협력하겠다는 뜻을 표명한 것으로 알려졌다.

시오자키 야스히사(鹽崎恭久) 일본 후생노동상은 지난 18일 참의원 후생노동위원회에서 일본군이나 군속(군무원)으로 동원돼 전사한 한국 출신자의 신원을 파악하기 위한 DNA 감정과 관련해 "한국 정부의 구체적인 제안이 있으면 일본 정부 내부에서 적절한 대응을 검토할 것으로 생각한다"고 말했다.

비용을 한국이 부담한다는 단서가 달려있긴 하지만, 시오자키 후생노동상의 이번 답변은 과거 일본 정부의 입장장보다 발전된 것이어서 눈길을 끈다.
 
일본 국회는 지난해 10월께 제2차세계대전 당시의 전사자 유골 수습 사업을 종합적으로 추진하는 '전몰자의 유골수집 추진에 관한 법률' 제정안을 마련하겠다는 움직임을 보였다. 이 법안에는 유골 수집 관련 기본 계획 수립, 사업 담당 법인 지정, 재원 마련 등 다각적 계획이 담겼다.

그러나 수습 대상 유골을 '일본 전몰자'의 것으로 규정하고 있어 한국 출신 전사자를 배제했다는 비난이 일었다. 일제 강점기에 동원됐다가 전사한 한국 출신 희생자의 한국인 유족 가운데는 일본군으로 끌려가 전사한 혈육을 찾을 수 있도록 자신의 DNA를 채취해 신원 확인에 활용하라고 요구하고 있지만 일본 정부는 이를 수용하지 않았다.

또 이 사안에 대해 한국 정부와의 구체적인 논의가 진전되지 않고 있다고 설명하기도 했다. 태평양전쟁피해자보상추진협의회는 앞서 일본 후생노동성 관료를 면담하고 희망하는 모든 한국인 유족의 유전자를 채취해 이를 유골 신원 판정에 활용해달라고 요청한 바 있다.

그런 가운데 한국 정부의 제안이 있으면 협의하겠다는 가능성이 열린 셈이다. 이에 따라 한국 정부가 한국인 유족의 요구를 어떤 형태로 일본과의 교섭에 반영할지 주목된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
언어선택
  • 중국어
  • 영어
  • 일본어
  • 베트남어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