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A-는 피치의 24단계 신용등급 가운데 네 번째로 높은 등급이다. 피치는 2012년 9월 한국 신용등급을 AA-(안정적)로 올린 이후 3년 4개월 동안 같은 등급을 유지하고 있다.
피치는 한국이 빠른 인구 고령화와 낮은 생산성 증가에도 거시경제 성과는 양호하다고 평가했다. 지난해 한국의 경제성장률이 2.6%로 둔화됐으나 올해에는 2.7%, 내년에는 3.0%로 상승할 것으로 전망했다.
대외건전성과 재정건전성도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지속적인 경상수지 흑자와 높은 외환 보유액 때문에 미국 통화정책이 정상화되더라도 한국 경제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이라는 것이다.
2009년을 빼고 2000년대 지속한 재정수지 흑자 기조와 최근 공공기관 부채감축 성과도 긍정적이라고 평했다. 그러나 최근 단행된 북한의 4차 핵실험 등으로 지정학적 위험이 커진 점과 지속적으로 증가세를 보이는 가계부채는 등급 상향에 제약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1인당 국내총생산(GDP)이 2만7천215달러로 AA레벨 국가 평균(4만2천513달러)보다 낮다는 점도 하향 요인으로 주목했다.
앞서 지난해 12월 무디스는 한국의 국가신용등급을 Aa3에서 Aa2로 한 단계 상향조정하며 사상 최고 등급을 줬다. 무디스의 Aa2 등급은 피치의 AA와 같은 등급으로 AA-보다 한 단계 높은 등급이다. 스탠더드 앤드 푸어스(S&P)도 지난해 9월 한국의 신용등급을 A+에서 AA-로 상향 조정한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