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경제 윤주혜 기자 = 바닥 모르고 추락하는 유가에 원유 수출 의존도가 높은 산유국들이 직격탄을 맞았다.
파이낸셜타임스(FT) 등 외신은 눈덩이처럼 불어나는 재정적자에 시달리는 산유국들이 과세 확대와 보조금 축소에 나섰다고 14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저유가 장기화가 확실시되는 상황에서 산유국들은 자국민에게 통크게 제시했던 혜택을 줄이기 시작했다. 산업구조를 다각화해 재정의 90% 안팎을 차지하는 석유 부문 의존도를 낮추는 등 경제 체질을 바꾸는 것이 중요하나 산유국 대부분이 제조업과 서비스업 기반이 약한 탓에 쉽지 않다.
이에 산유국들은 휘발유, 경유, 등유, 전기 같은 에너지를 비롯해 상·하수도, 고기, 빵 등에 이르는 광범위한 보조금을 줄이기 시작했다.
바레인은 지난해 4월 산업용 천연가스 보조금을 폐지한 데 이어 10월 닭고기와 쇠고기에 대한 보조금을 중단하는 대신 여론을 의식해 자국민에 한해 일정 비율로 현금 보상을 실시했다.
이어 아랍에미리트(UAE)가 지난해 8월1일부터 국내총생산(GDP)의 0.7%에 달하는 휘발유·경유에 대한 보조금을 없앴고 사우디가 지난달 29일 이를 대폭 삭감, 국내 휘발유 가격을 최고 67%까지 올렸다.
중동 산유국의 트레이드 마크였던 '무세금' 정책도 저유가를 당해내지 못했다. 걸프지역 6개 산유국 모임은 걸프협력회의(GCC)는 지난달 7일 부가가치세를 도입하기로 원칙적으로 합의했다. 이와 관련, UAE 재무부는 13일(현지시간) 부가가치세가 3∼5%의 세율로 2018년부터 적용될 것이라고 밝혔다.
그러나 일각은 이러한 산유국들의 복지 혜택 축소가 정치적 혼란을 야기할 가능성이 있다고 분석했다. 사우디 주재 미국 대사였던 로버트 조던은 “사우디 정부가 국민의 지지를 받은 점은 세금을 부과하지 않았기 때문”이라며 “그러나 세금을 부과하면 곧 정치적 불안이 증가하기 시작할 것”이라는 우울한 전망을 내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