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경제 김근정 기자 = 파리에서 끔찍한 동시다발 테러로 130여명이 목숨을 잃었다. 테러소식과 함께 중국은 "깊은 슬픔을 표한다"면서 이례적으로 "야만적 행위"라며 비난했다.
이어 극단주의 무장단체 '이슬람국가(IS)'가 공개 몸값을 요구했던 중국인 포로를 처형한 사실이 확인되면서 중국은 분노했다. 시진핑(習近平) 중국 주석이 "테러리즘은 인류 공공의 적"이라며 맹비난했고 외교부도 "인간성이라고는 찾아볼 수 없는 잔인한 행위, 도덕적 마지노선을 저버린 행위"라며 "법에 따라 반드시 처벌하겠다"고 단호한 목소리를 냈다.
신장위구르자치구(新疆维吾尔自治区)는 '중국의 화약고'라고 불릴 정도로 충돌이 잦은 지역이다. 위구르족이 요구하는 것은 '분리·독립'이지만 중국은 이를 '국가분열 조장, 주민 생명을 위협하는 테러'로 규정, 강력히 제압하고 있다.
이를 두고 서양사회는 다소 비판적인 입장이었다. 위구르족에 중국 당국의 과격한 대응과 태도가 '인권탄압'에 가깝다는 것이다.
하지만 IS가 세계의 '공공의 적'으로 떠오르면서 상황이 조금 달라졌다.
IS의 영향력이 위구르족까지 번지고 있다는 추측성 보도도 나오는 상황에서 파리 테러, 중국인 인질 처형소식까지 터져나왔다. 최근 위구르족이 무차별살인, 폭탄테러 등 과격한 양상을 보이고 있는 것과 과거 IS 지도부의 "위구르 지역이 강제로 중국에 복속됐다"는 등 발언이 언급되며 "중국도 IS의 안전지대가 아니다"라는 인식이 커졌다. 중국 당국의 긴장감도 높아졌음은 물론이고 이와 함께 중국은 위구르족 독립세력에 강력히 대응할 대내외적 명분을 확실히 얻게 됐다.
'이유'가 무엇이든 과격한 폭력을 일삼는 조직과 구성원을 단속하고 처벌하는 것은 당연하다. 하지만 중국과 위구르족 간 충돌은 단순히 '테러'와 '대응'으로 보기는 어려운 복잡한 문제다. 이것이 IS와 테러에 대한 중국의 분노와 강경함이 이해되면서도 불안한 이유다. '폭력'에 대한 대응이 또 다른 '폭력'의 구실이 되지 않기를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