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5/11/18/20151118161005190198.jpg)
[사진=아이클릭아트]
UNHCR이 태국 정부가 중국 반체제 인사를 강제 송환한 것을 강력히 비난하며 실명을 공개하지 않는다는 원칙도 깨뜨리고 국제적 인권 보호의 필요성을 강조했다고 영국 일간지 가디언이 지난 17일(현지시간) 보도했다.
UNHCR은 "태국의 이번 송환이 대단히 실망스럽다"며 "송환된 이들에 깊은 우려를 표하며 이같이 이름을 공개한다"고 말했다. 중국으로 송환된 반체제인사는 장예페이(姜野飛)와 둥광핑(董廣平)이다.
이어 "태국의 비(非)인도적 행태를 공개함에 따라 국제적 보호가 필요한 이들에게 더 적절한 대책을 실시하길 바란다"고 덧붙였다.
UNHCR는 "여러 국제기구들이 수 차례 중재와 개입을 했음에도 강제 송환이 이뤄졌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태국 내 UNHCR 대표 본부도 나섰지만 송환을 막기엔 역부족이었다.
국제 앰네스티(사면위원회)는 "태국의 결정으로 반체제인사들이 고문과 불공정한 재판을 받을 위기에 놓이고 말았다"고 우려를 표했다.
태국은 1951년 이뤄진 난민협약에 서명하지 않았다. 하지만 난민 지위를 보장하는 등의 규칙은 준수하겠다고 공언한 바 있다.
하지만 군부 집권 이후 중국과 정보 공유에 동의하고 군사 협력을 강화하는 등 긴밀한 관계를 이어갈 뿐 아니라 강제 송환도 빈번히 이뤄지고 있다.
태국은 지난 7월에도 망명을 위해 입국한 위구르족 100여 명을 중국으로 돌려보내 국제사회의 공분을 샀다. 최근 실종설이 돌았던 반체제 출판업자 구이민하이(桂民海) 대표도 태국에서 중국으로 보내진 것으로 밝혀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