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일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의 '농축산물 수입동향'에 따르면 올해 들어 3분기까지 바나나와 파인애플 수입량은 다소 줄어들고 망고와 자몽 수입량은 급증했다.
올해 1∼9월 바나나 누적 수입량은 지난해 같은 기간(27만7000t)보다 1.6% 줄어든 27만2000t이었다. 이는 지난해 말과 올해 초 잔류 농약이 기준치의 10∼100배에 이르는 수입 바나나가 시중에 유통된데 따른 소비 감소의 영향이 컸다.
같은 기간 파인애플 수입량도 6만9000t에서 6만5000t으로 5.6% 감소했다. 필리핀을 포함한 동남아시아 지역 바나나 생산이 가뭄 등으로 줄어든 영향이라는 분석이다.
올해 기준 망고를 가장 많이 수입한 나라는 필리핀(5212t)이며 태국(4909t), 대만(1761t) 순이었다.
망고는 20년 전인 1995년에는 연간 수입량이 2t에 불과했지만, 동남아 등 해외에서 망고를 맛본 소비자가 많아지면서 국내 수요가 꾸준히 늘었다.
자몽도 국내 수요가 많아져 수입량이 1만7000t에서 2만2000t으로 28.5% 증가했다. 국내에서 신선 자몽과 주스 등 가공품 소비가 모두 늘어 수입량 증가를 이끌었다는 분석이다.
다만 망고와 자몽은 대중적인 과일로 자리 잡은 바나나보다는 아직 가격이 비싸다. ㎏당 수입단가는 망고가 4달러, 자몽이 1.37달러로 바나나(0.9달러)나 파인애플(0.93달러)보다 높다.